경산시, 미래 신성장 산업 안광학 기술분야 핵심 거점지 도약 박차

  • 앞을 밝히는 ‘시기능 보조기기 육성사업’...안광학 산업발전 견인

경산의 한 안광학업체에서 첨단화된 시설을 이용해 제품을 연구, 생산, 검사를 실시 하고있다.[사진=경산시 제공]

경북 경산시가 미래 먹거리 확보와 성장동력 확보를 위해 두팔을 걷어붙였다. 

이의 일환으로 경산시에서 2020년부터 추진 중인 “첨단 기능성 소재 기반 시기능 보조기기 산업 육성 사업”(이하 사업)이 시기능 보조기기를 비롯한 안 광학 산업 육성에 마중물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고 2일 밝혔다.

콘택트렌즈 제조업은 시기능 보조기기 산업의 대표격으로 전국 75개 사, 경북에 17개 업체가 있으며 그중 82%인 14개 업체가 경산시에 있다.이와 함께 국내 1위 안경 토종 프랜차이즈인 다비치안경을 비롯한 30개 안경 관련 업체가 경산지식산업지구 내 구축된 패션테크클러스터에 입주를 앞둔 등 안 광학 관련 산업이 전국에서 가장 집적화된 곳이 바로 경산이다.

시기능 보조기기 산업은 세계 시장 연평균 성장률 5%로 지속적인 성장세에 있으나 국내 기업의 기술․품질은 뒤처져 있는 상황으로 핵심 기술을 전량 수입하고 있는 형편이다.

이에 경상북도와 경산시는 도내 콘택트렌즈 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고자 적극적인 지원에 나서고 있다. 지난해 산업통상자원부 “시기능 보조기기 산업 육성 사업”으로 국비 33억 원을 확보했다.

본 사업은 콘택트렌즈 핵심 소재 및 시기능 보조기기 제품의 국산화 촉진과 대다수 영세기업인 도내 콘택트렌즈 기업들에 제품 시험분석, 인증지원, 시제품 제작, 기술 동향 및 시장정보를 제공한다.

이번 사업의 수행 기관으로 안 광학 관련 115종 135대의 최신 장비를 보유하고 있으며 국제공인시험기관 자격을 갖춘 전국 유일한 콘택트렌즈 특화 기관인 대구가톨릭대학교 안광학 융합기술사업단이 참여하고 있다.

이전에는 렌즈의 시험분석, 성능평가, 인증을 받기 위해 수도권까지 가야 하는 많은 시간과 비용이 요구지만 본 사업으로 제품평가, 분석 결과 등에 대한 신속한 피드백이 가능해져 렌즈의 품질향상 뿐만 아니라 신제품 출시 또한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번 사업으로 기업들에 시제품 제작 20건, 시생산 지원 8건, 기술 지원 22건 등을 제공하여 코로나19 팬데믹 가운데에서도 지역 내 기업의 수출량이 1월~9월 기준 전년 동기대비 62% 증가라는 괄목할만한 성과를 지표로 보여주고 있다.

컬러 콘택트렌즈 분야 세계 최고의 명성을 가진 자인면 소재 A 업체 대표는“콘택트렌즈 분야 국제공인시험기관으로 인정받은 사업 단이 경산에 있는 것은 관련업을 종사하는 기업들에는 큰 행운이다. 생산 공정 및 제품 등에 사소한 문제라도 바로 해결책을 찾을 수 있게 되었다"며 본 사업에 대한 감사의 마음을 표시했다.

최영조 경산시장은 “안광학 기술은 4차산업혁명 기술의 핵심인 메타버스의 한 분야인 AR 안경에 꼭 필요한 기술이다. 지금은 시 기능 개선 및 제품개발에 집중하고 있지만, 향후 대구가톨릭대학교를 비롯해 산·학·관·연이 힘을 모아 우리 경산을 미래 신성장산업 안 광학 기술 분야 핵심 거점으로 도약 시키겠다"고 희망 찬 미래 청사진을 공개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