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외교가에 따르면, 중국이 지난달 15일 요소 수출 제한에 나섰지만, 외교부는 6일이 지나서야 주중 대사관으로부터 관련 보고를 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청와대는 3주가 흐른 지난 4일 국가안전보장회의에서 요소수 문제를 처음 거론했다. 국내 요소 98%는 중국에서 수입되고 있다.
또한 지난달 29일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차 이탈리아 로마를 방문 중이었던 정의용 외교부 장관이 현지에서 왕이 중국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을 만나 한·중 외교장관회담을 개최했지만, 요소수 협조를 적극적으로 요청하지 않았던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대해 외교부는 "이번 한·중 외교장관회담은 다자회의 계기에 이뤄진 약식 회담으로 약 30여분 간 진행됐다"며 "회담 의제도 종전선언을 포함한 한반도 평화프로세스 재가동을 중심으로 진행됐다. 요소 문제는 당시 한·중 간 경제부문을 중심으로 소통이 진행되고 있던 것으로 알고있다"고 밝혔다.
다만 지난 2019년 일본의 반도체 핵심 부품 수출제한이 이번 사태와 함께 언급되면서, 정부의 미흡한 초기대응으로 인해 또다시 '골든타임'을 놓쳤다는 비난이 제기되고 있다.
정부가 국민 불안을 달래면서 전 세계에서 요소수 물량을 확보하기 총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사태는 장기화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당장 요소수 생산에 필요한 요소 물량은 이번달 동이 난다. 중국이 수출 금지 조치를 취한 가운데 요소를 조기에 확보하지 못하면 당장 다음달부터 전 산업계가 타격을 받게 되는 셈이다.
이에 외교부는 중국의 수출검사가 진행 중인 요소 7000톤을 신속하게 들여오기 위해 전방위적인 접촉을 하고 있다. 또한 중국 이외 러시아와 중동 등 다른 국가에서 요소를 긴급 공수해 오는 방안도 타진하고 있다.
외교부 당국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요소수 품귀 사태와 관련 "중국과 기계약한 물량 중 빨리 수입하려는 요소가 1만 8000톤이며 그 가운데 이미 수출검사를 신청한 물량이 7000여 톤"이라며 "주중 한국 대사관을 중심으로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 상무부, 해관, 지방 당국 등과 전방위적인 접촉을 시행 중"이라고 밝혔다.
외교부는 또 요소수 긴급 수입을 위해 호주와 외교적 협의도 마무리 단계라고 밝혔다.
외교부 당국자는 "호주에서 군 수송기로 요소수 2만 7000리터를 실어 오는 것과 관련 영공을 통과해야 하는 국가와 협의가 거의 마무리됐다"며 "러시아, 사우디아라비아, 인도네시아 등을 중심으로 특별히 밀도 있게 타진·협의 중"이라고 말했다.
한편, 요소 품귀현상은 지난해 4월 스콧 모리슨 호주 총리가 코로나19 발원지 문제로 중국을 공격하면서 불거졌다. 같은 해 10월부터 호주산 석탄 수입을 중단한 중국은 자국 내 석탄 부족에 대응하기 위해 지난달 15일부터 요소 수출을 차단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