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 정확한 팩트체크] 코로나19 '슈퍼항체'가 코로나 시대 끝낼까?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최지현 기자
입력 2021-11-12 18:53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DH1047', 모든 변이에 작용 가능한 중화항체 '맞아'

  • 발견 시점 너무 늦어...치료제화 이전에 '코로나 종식'

미국의 한 연구진이 모든 종류의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에 효과가 있는 중화항체 'DH1047'을 발견했다는 소식이 화제를 끌고 있다. 이를 보도하는 기사마다 '슈퍼항체'란 말로 당장이라도 코로나19 시대를 종식할 수 있다는 기대감을 불어넣고 있다.

하지만 정말 해당 연구가 슈퍼항체를 발견한 것인지, 그리고 현재의 코로나19 상황에 실질적 도움이 되는지를 명확히 확인해주는 정보는 찾아볼 수 없다. 이에 따라 아주경제는 12일 해당 연구에 대해 설대우 중앙대학교 약학대학 교수의 자문을 받아 팩트체크를 진행했다.

결론을 먼저 말하자면, 'DH1047'은 그간 인류가 찾아오던 '꿈의 항체'일 순 있지만, 발견 시점이 너무 늦었다는 평가다. 향후 이를 활용한 치료제가 나오지 않는다고 해도, 이미 개발된 코로나19 백신과 치료제를 통해 코로나19 사태를 충분히 종식할 수 있다는 것이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가 발표한 코로나19 바이러스 구조 일러스트. [사진=로이터·연합뉴스]

 
◆슈퍼항체의 발견?
해당 연구는 '실험용 쥐에서 사스(SARS) 관련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해 광범위하게 교차 작용하는 항체의 중화 작용과 감염 보호(A broadly cross-reactive antibody neutralizes and protects against sarbecovirus challenge in mice)'란 제목으로 2일(이하 현지시간) 미국 과학저널인 '중개의학(Science Translational Medicine)' 온라인판에 소개됐다.

미국 노스캐롤라이나대학 채플힐캠퍼스와 듀크대 등의 소속 연구팀을 비롯한 34명의 공동 연구진이 참여해 연구를 진행했으며, 앞서 4월 28일에는 동료 평가(Peer Review)를 거치지 않은 프리 프린트(Free-Print) 형태로도 공개된 바 있다.

연구진은 2000년대 초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사스·SARS)을 유발했던 사스바이러스(SARS-CoV-1)에 감염된 환자와 최근 코로나19 감염을 유발하는 코로나바이러스(SARS-CoV-2)에 감염된 환자 등 1700명 이상의 혈액을 분석해 항체를 분리했다.

연구진은 이 중 50개의 항체가 코로나바이러스뿐 아니라 사스바이러스에도 결합 가능하다는 것을 발견했고, 이를 추가 분석해 교차 결합 항체 중 중화 효과가 탁월한 'DH1047'을 확인했다.

이에 대해 지난 9일 영국 데일리메일은 "해당 항체가 델타 변이를 비롯한 모든 유형의 코로나바이러스 종류를 광범위하게 무력화했다"면서 향후 미래 시점에 효과적인 코로나19 치료제로 활용될 수 있다고 기대했다.
 

다양한 유형의 사스(SARS) 관련 코로나바이러스에 DH1047 중화항체가 작용하는 모습. [자료=중개의학]

 
◆정말로 슈퍼항체일까?
해당 연구와 관련해 설 교수는 'DH1047'이 그간 인류가 찾던 '슈퍼항체'일 수는 있다고 지적했다.

코로나19 백신의 핵심적 효능은 바이러스의 세포 침투를 억제하는 중화 기능이다. 이를 위한 기본 원리는 바이러스의 부분 중 감염을 유발하는 스파이크 단백질의 유전 정보를 인체에 전달해, 인체가 미리 코로나19 바이러스에 대해 항체(중화항체)를 형성하도록 돕는 방식이다.

백신이 스파이크 단백질을 목표로 하는 것은 바이러스의 감염을 원천적으로 막을 수 있기 때문이다.

바이러스가 인체에 침투할 경우, 인체 세포의 'ACE2 수용체'가 반응해 바이러스와 결합한다. 이 과정을 통해 인체는 바이러스에 감염된다. 하지만 백신 접종을 통해 ACE2 수용체 대신 바이러스의 스파이크 단백질에 먼저 반응하는 항체를 형성한다면 바이러스 감염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다만 문제는 바이러스가 감염을 거듭하며 변이를 일으킨다는 것이다. 즉 바이러스가 변이를 일으켜 스파이크 단백질의 모양이 일부 변하면, 중화항체가 바이러스의 세포 침투를 일부 놓치게 되는 것이다.

변이 바이러스의 확산세로 코로나19 재유행이 반복되자 과학자들은 어떠한 변이에도 작용하는 '슈퍼항체'를 찾아왔다. 변이 과정에도 잘 변하지 않는 스파이크 단백질 부분에 작용해 결합할 수 있는 중화항체를 연구해온 것이다.

설 교수는 이러한 의미에서 해당 연구가 발견한 'DH1047'이 인류가 그간 찾아오던 항체가 맞는다고 설명했다.
 
◆슈퍼항체, 코로나19 시대 종식에 도움이 될까?
다만 설 교수는 연구진이 뛰어난 항체를 찾은 게 맞는다곤 했지만, 너무 늦게 발견했다고 지적했다. 해당 연구는 소형 동물인 실험용 쥐(마우스)에서 효과를 확인했지만, 대형 동물은 물론 인체에 대한 임상시험을 거치지 않은 상황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설 교수는 인류를 상대로 이를 치료제화하기 위해선 최소 2년 이상의 시간이 더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약물의 안전성과 효능성을 확인하기 위한 과정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 과정에는 막대한 비용과 시간이 들어간다. 따라서 해당 연구 결과가 1~2년 전에 나왔다면 효용성이 있었을지 몰라도, 현재로서는 치료제화할 가능성이 '제로(0)'라는 것이 설 교수의 평가다.

현 시점에서 코로나19 바이러스에 대한 백신과 효과적인 치료제가 이미 나온 상황이며, DH1047을 활용한 치료제가 나올 시점에선 코로나19 유행 상황은 종식했을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설 교수는 연구진이 'DH1047'의 치료제화 연구·개발에 착수하기 어려울 것으로 봤다.
 

설대우 중앙대학교 약학대학 교수 [사진=유튜브/연합뉴스TV 갈무리]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