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탄소 발전·재생에너지 전환 속도…정부 '탄소중립 R&D 전략' 발표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조현미 기자
입력 2021-11-18 00:0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17일 탄소중립 산업전환추진위 2차 회의

  • 문승욱 산업장관 "산업구조 변화 변곡점"

문승욱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왼쪽)이 17일 오후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 챔버라운지에서 열린 탄소중립 산업전환 추진위원회 2차 회의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오른쪽은 최태원 대한상의 회장. [사진=공동취재]


2050년 탄소중립을 선언한 정부가 17일 '탄소중립 산업·에너지 연구·개발(R&D) 전략'을 발표했다. 이번 전략에는 무탄소 발전 보편화와 재생에너지 전환 기술 개발 계획 등이 담겼다.

산업통상자원부와 대한상공회의소는 이날 오후 서울 중구 대한상의 챔버라운지에서 '제2차 탄소중립 산업전환 추진위원회'를 개최했다. 위원회 공동 위원장인 문승욱 산업부 장관과 최태원 대한상의 회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이날 회의에서 정부는 탄소중립 관련 R&D 전략을 처음으로 공개했다. 지난 2월 논의를 시작해 9개월 만에 마련한 것이다.

이번 R&D 전략은 2030 국가온실가스 감축목표(NDC) 달성과 2050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실질적인 감축 기술을 제시하고, 우리 산업·에너지 구조 탈탄소화를 촉진하기 위한 내용을 담았다.

2030년 NDC 달성을 위해 에너지 분야에서는 발전용 수소 혼소 등 청정연료 기반 무탄소 발전 기술, 15메가와트(MW)급 풍력 터빈기술과 8MW급 부유식 해상풍력 상용화 기술 등 재생에너지 기술 등을 개발한다.

산업 분야는 무탄소 연료 개발과 시멘트 원료인 석회석을 비탄산염(슬래그 등)을 바꾸는 원료 기술 개발 등에 나선다. 기업의 탄소 다배출 설비를 저탄소 시설도 바꾸는 기술도 집중 지원할 계획이다.

2050년 탄소중립을 위한 세부 계획도 마련했다. 에너지 분야에서는 발전용 가스터빈 연료를 수소나 암모니아로 100% 전환하는 기술을 상용화해 나간다. 수소 기반 삼중 열병합시스템 개발 등으로 무탄소 발전을 보편화하고, 태양광 입지혁신 기술·기가와트(GW)급 해상풍력 전력망 통합기술 등으로 태양광·풍력을 대규모로 보급한다. 장거리·대용량 운송이 가능한 수소 액화체계도 개발해 내놓을 방침이다.

산업 분야에서는 석유화학 나프타 분해로를 전기가열 분해 공정으로, 시멘트 소성공정은 친환경 신열원 기반으로 각각 전환할 예정이다. 반도체·디스플레이 공정가스는 지구온난화지수(GWP)가 낮은 새로운 공정가스로 대체 개발하고 생산 공정에 적용할 계획이다. 

공통적으로 자원 순환 혁신기술 고도화와 배출원별 저비용 포집기술 확보, 연간 1500만t 규모 이산화탄소 포집·활용·저장(CCS) 실증으로 CCUS 기술 상용화·자립화를 달성해 나간다.

이를 위해 산업부는 관련 예산을 꾸준히 늘려나갈 방침이다. 당장 내년 탄소중립 R&D 예산은 올해 8200억원에서 1조2000억원으로 대폭 증액한다. 장기적으로는 산업부 R&D의 30% 이상을 탄소중립에 투자할 예정이다.
 
문 장관은 "탄소중립은 목표 설정을 넘어 본격적 이행으로 탄소중립 산업구조로 전환해야 하는 변곡점에 있다"며 산업계에 적극적인 협조를 요청했다. 이어 "정부의 정책적·재정적 총력지원 방안을 담은 '탄소중립 산업 대전환 비전과 전략'도 오는 12월에 최종안을 발표하겠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