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부겸 국무총리가 최근 단계적 일상 회복에 맞물려 방역수칙이 완화되면서 확진자와 위중증환자 수가 급증, 의료시스템에 과부하가 걸린다는 우려가 잇따라 나오면서 19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수도권 22개 상급종합병원장들과 만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위중증 환자 병상 운영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긴급회의를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김 총리는 이날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수도권 상급종합병원장들과 의료대응 간담회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김 총리는 "추가병상 확보를 위한 행정명령을 미리미리 발동했고, 전담요양병원을 추가 확보하는 등 실기(失機)하지 않으려 노력해 오고 있다"라며 "하지만, 최근에 우리 공동체가 직면한 상황은 결코 녹록지 않다. 예상은 했지만 단계적 일상회복 이후 확진자 수가 10월에 비해 30% 가까이 늘어난 가운데, 이 중 80%가 수도권에서 나오고 있다"라고 우려를 전했다.
그러면서 "특히, 요양병원이나 시설에서의 집단감염이 부쩍 늘었다. 고령층 중심으로 돌파감염이 눈에 띄게 증가하면서 수도권의 병상 부족 문제가 점점 심각해지고 있다"라고 덧붙였다.
의료자원의 효율적 활용을 위해서는 "위중한 환자부터 중환자 병상에서 치료받을 수 있도록 하고, 상태가 호전되면 신속히 회복병상으로 전원될 수 있도록 병상관리 체계를 개선하겠다"라며 그 일환으로 수도권, 비수도권 간 경계 없이 중환자 병상의 통합 관리를 제시했다.
김 총리는 의료체계의 부담을 조금이라도 줄이기 위해서는 고령층의 ‘추가접종’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를 위해 정부는 접종주기를 과감하게 단축했다"라며 "고위험군이 최대한 빨리, 더 많이 접종받도록 총력을 다할 계획이다"라고 각오를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