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는 뇌의 퇴행성 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질환이다. 뇌의 순환장애와 뇌세포의 약화로 인해 기억력을 포함한 인지기능 장애를 보이면서 뇌 기능이 손상되는 상태이며, 만성 또는 점진적으로 악화되는 경우 중증 치매로 발전되기도 한다.
치매는 국민들에게 암을 제치고 가장 무서운 질환 1위로 인식되었고, 불과 몇 년 후면 치매 환자수가 100만 명을 넘어서리라 예측도 되고 있다. 이는 65세 이상 노인 인구 10명 중 한 두 명은 치매 환자라는 것인데 무서운 현실이 아닐 수 없다.
문제는 치매가 치료가 가능한 질환 인가다. 전 세계적으로 치매 치료제 개발에 엄청난 투자와 연구를 진행하고 있지만, 왜 아직 명확한 치료제가 없는 것일까.
현재까지 알려진 바에 의하면, 치매는 뇌세포의 활성도를 떨어뜨리는 여러 이유(심지어 외상에 의한 것도 포함)로 인해 발생하는데, 이중 거의 80%를 차지하는 알츠하이머 병변의 경우 뇌 속 신경세포에 특정 단백질인 베타아밀로이드가 과다 침착된 것으로 보고 있다.
알츠하이머 치매가 진행되게 되면, 환자의 뇌세포 주변으로 베타아밀로이드와 타우 단백질이 쌓이는 것으로 보고됐다. 따라서 두 가지 원인 물질을 치매를 진행시키는 기전으로 분석하고 있다. 이러한 기전에 따라, 세계적으로 치매 진행을 막는 연구와 신약 개발이 수십 년간 진행돼 일부에서는 임상을 진행중이나 의료계 내부에서도 그 효과에 대한 기대와 평가가 분분한 데다 실제 임상 결과는 기대치에 못 미치고 있다고 보고됐다.
왜냐면, 가장 복잡한 대사 메커니즘을 가진 뇌에 발생하는 질환인 치매의 경우 그 대사 과정을 극히 일부밖에 알지 못하다 보니 어떤 특정적인 병리적 대사가 발생하는 그 이전이나 그 이후 또는 그 과정에서 생기는 복잡하고 다양한 메커니즘의 상호작용을 제대로 개선하지 못하기 때문에 치료제 개발이 어렵다는 전문가들의 의견이 지배적이다.
이에 한방에서 오랫동안 내려오는 처방을 바탕으로 체계적으로 연구를 진행한다면 한방이 치매 치료의 또 다른 돌파구가 될 수 있다고 판단하여 한의학을 근간으로 한 연구를 오랜 기간 지속적으로 진행해 왔다. 실제 최근 한방 치매 치료제에 대해 실험 결과에 의한 과학적인 데이터를 얻었고 SCI급 저널에 이 결과를 근거로 한 논문이 등재됨과 동시에, 관련 특허도 받아 향후 치매 치료에 한방이 새로운 역할을 맡게 될 가능성을 열었다.
특히, 이번 연구에서는 치매의 원인 물질인 베타아밀로이드와 타우 단백질의 생성을 억제 및 감소시키는 유의미한 결과를 얻었다. 또한 치매 진행을 단순히 지연시키는 것뿐 아니라, 뇌의 면역 효과를 높이는 효소의 활성화를 유도하여 인지능력을 개선하는 복합적인 메커니즘을 밝히게 되면서 ‘치매 증상 개선과 예방’에도 도움을 줄 수 있게 됐다. 특히, 특히 치매 치료 시 가장 우려되는 간 기능 장애, 소화 장애 등의 부작용을 줄이며 한방의 장점을 살렸다.
이렇듯 치매 진행을 지연하는 데 머무를 것이 아니라, 발병의 근본적인 원인을 찾아내 치매의 모든 단계에서 증상 개선과 치유를 돕는 한의학의 관점에서 메커니즘을 밝혀내는 것이야말로, 난공불락의 치매를 정복할 수 있는 열쇠가 아닐까 싶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