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중소도시 64곳 '스마트시티' 조성…2560억원 투입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윤주혜 기자
입력 2021-11-23 08:19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내년 16개 지자체 선정·최대 20억원 지원

스마트챌린지 성과 사례 [사진=국토부 제공]




정부가 2025년까지 2560억원을 투입해 중·소도시 64곳을 '스마트시티'로 조성한다.

국토교통부는 이런 내용의 '중·소도시 스마트시티 조성사업'에 참여할 지자체를 다음 달 27∼29일 사흘간 공모한다고 23일 밝혔다.

정부는 내년부터 매년 16개 기초자치단체를 사업 대상으로 선정해 1곳당 40억원(국비 50%·지방비 50%)을 지원하기로 했다. 내년 사업비는 640억원이며 4년간 총 2560억원이 투입된다.

사업 참여를 희망하는 지자체는 국토부 홈페이지나 스마트시티 종합 포털에 사업계획서를 제출하면 된다.

국토부는 그간 스마트시티 관련 사업을 통해 전국 64개 도시에서 240여개 스마트시티 서비스를 실증했지만, 중·소도시의 참여가 적어 대상을 확대했다고 설명했다.

이번 사업부터는 지역의 상황을 제대로 반영하기 위해 스마트시티의 계획 수립 단계부터 솔루션 구축·운영 단계까지 주민이 참여하는 모델로 추진하기로 했다. 도시 서비스 향상을 위해 해당 지역의 주민이 문제점을 찾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솔루션 계획과 목표를 세우면 정부와 지원기관이 컨설팅도 지원한다.

국토부는 인천시 사례를 모범 사례로 꼽았다.

인천시의 수요응답형 버스는 고객이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앱)으로 미니버스 등 차량을 특정 버스정류장으로 호출하면 그곳에서 원하는 다른 목적지의 버스정류장까지 이동시켜주는 서비스다. 동선이 같은 고객을 한꺼번에 태우는데 이 서비스를 통해 버스 대기시간이 78분에서 13분까지 단축됐다고 국토부는 소개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