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주력 제조업의 실적 회복세가 내년에 둔화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반도체, 자동차, 정유, 조선, 철강, 디스플레이, 자동차부품, 섬유, 가전, 바이오헬스 등 10개 수출 주력 업종 협회를 대상으로 '2021년 실적 및 2022년 전망 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30일 밝혔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해당 업종의 올해 전체 평균 매출액은 지난해와 비교해 14.7%, 수출액은 24.1% 증가할 것으로 예측됐다.
내년에도 매출액은 올해보다 4.9%, 수출액은 3.3% 증가하는 등 2년 연속 성장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됐다. 다만 내년에는 기저효과의 감소로 성장세가 약화될 것으로 관측됐다. 특히 수출액의 경우 올해 성장률의 7분의 1 수준에 불과할 것으로 예상됐다.
올해는 특히 조선·자동차 업종의 매출 감소가 예상된다. 조선업계의 매출 급감은 원재료인 후판(두께 6㎜ 이상의 철판) 등의 가격급등에 따른 원가 손실을 공사손실충당금으로 선반영한 데 따른 결과다. 자동차업계의 경우 차량용 반도체 공급 부족에 따른 생산 차질과 내수 감소로 전년 대비 5%까지 매출이 줄어들 것으로 추정된다.
내년에는 가전·철강 업종 등의 매출이 올해보다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가전업계는 프리미엄 제품군 수요 확대 등 코로나19로 인한 특수 효과가 줄면서 올해보다 5∼10%가량 매출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됐다. 철강업계는 글로벌 수요 둔화와 수출단가 조정의 영향으로 매출이 5%까지 줄어들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디스플레이와 반도체업계는 각각 패널과 메모리 가격 하락을 반영해 올해와 유사한 수준의 실적을 보일 전망이다.
조선업계는 수주 증가와 선가 상승에 힘입어 올해보다 20% 이상 매출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다. 섬유, 정유, 바이오헬스 업종 등도 올해보다 5∼15%의 매출 증가가 예상된다.
영업이익 추정을 통해 수익성을 예측한 결과에서는 올해 조선업계를 제외한 모든 업종의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내년에는 가전·디스플레이·반도체·철강 업종의 영업이익이 감소할 것으로 예측됐다.
주요 업종 협회 관계자들은 최근 국내 수출기업의 현안으로 부상한 원자재 수급 불안, 미국과 중국의 무역 갈등 및 보호무역주의에 대해 내년에도 부정적인 상황이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원자재 수급의 경우 올해보다 '약간 악화'(60%)되거나 '매우 악화'(10%)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놨다. 약간이라도 개선될 것으로 예상하는 업계는 한 곳도 없었다. 미·중 무역갈등 역시 '약간 악화'(70%)될 것으로 전망하는 업계가 가장 많았다.
반면에 내년 국내 경제 전반의 상황에 대해서는 올해와 '비슷할 것'(50%)이라거나 '약간 개선될 것'(40%)이라는 전망이 많았다. 기업의 국내 투자는 올해보다 '약간 개선'(60%)될 것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국내 고용은 올해와 '비슷할 것'(70%)이라는 의견이 우세했다.
기업 경영활동 관련 우려 사항으로는 '규제 및 경쟁제한'(30%)을 가장 많이 꼽았고 이어 '노동 부담'(20%), '온실가스 감축 부담'(15%) 등의 순으로 답했다. 또 기업 경영환경 개선을 위한 지원정책에 대해서는 '세제 지원 확대'(30%)를 가장 시급하다고 꼽았다.
유환익 전경련 기업정책실장은 “원자재 가격 불안정과 공급망 차질의 악재가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코로나19의 재확산도 여전히 불안 요인"이라며 "호랑이의 해인 2022년에 우리 기업들이 어려운 여건을 돌파할 수 있도록 적극적이고 선제적인 정책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반도체, 자동차, 정유, 조선, 철강, 디스플레이, 자동차부품, 섬유, 가전, 바이오헬스 등 10개 수출 주력 업종 협회를 대상으로 '2021년 실적 및 2022년 전망 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30일 밝혔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해당 업종의 올해 전체 평균 매출액은 지난해와 비교해 14.7%, 수출액은 24.1% 증가할 것으로 예측됐다.
내년에도 매출액은 올해보다 4.9%, 수출액은 3.3% 증가하는 등 2년 연속 성장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됐다. 다만 내년에는 기저효과의 감소로 성장세가 약화될 것으로 관측됐다. 특히 수출액의 경우 올해 성장률의 7분의 1 수준에 불과할 것으로 예상됐다.
내년에는 가전·철강 업종 등의 매출이 올해보다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가전업계는 프리미엄 제품군 수요 확대 등 코로나19로 인한 특수 효과가 줄면서 올해보다 5∼10%가량 매출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됐다. 철강업계는 글로벌 수요 둔화와 수출단가 조정의 영향으로 매출이 5%까지 줄어들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디스플레이와 반도체업계는 각각 패널과 메모리 가격 하락을 반영해 올해와 유사한 수준의 실적을 보일 전망이다.
조선업계는 수주 증가와 선가 상승에 힘입어 올해보다 20% 이상 매출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다. 섬유, 정유, 바이오헬스 업종 등도 올해보다 5∼15%의 매출 증가가 예상된다.
영업이익 추정을 통해 수익성을 예측한 결과에서는 올해 조선업계를 제외한 모든 업종의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내년에는 가전·디스플레이·반도체·철강 업종의 영업이익이 감소할 것으로 예측됐다.
주요 업종 협회 관계자들은 최근 국내 수출기업의 현안으로 부상한 원자재 수급 불안, 미국과 중국의 무역 갈등 및 보호무역주의에 대해 내년에도 부정적인 상황이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원자재 수급의 경우 올해보다 '약간 악화'(60%)되거나 '매우 악화'(10%)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놨다. 약간이라도 개선될 것으로 예상하는 업계는 한 곳도 없었다. 미·중 무역갈등 역시 '약간 악화'(70%)될 것으로 전망하는 업계가 가장 많았다.
반면에 내년 국내 경제 전반의 상황에 대해서는 올해와 '비슷할 것'(50%)이라거나 '약간 개선될 것'(40%)이라는 전망이 많았다. 기업의 국내 투자는 올해보다 '약간 개선'(60%)될 것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국내 고용은 올해와 '비슷할 것'(70%)이라는 의견이 우세했다.
기업 경영활동 관련 우려 사항으로는 '규제 및 경쟁제한'(30%)을 가장 많이 꼽았고 이어 '노동 부담'(20%), '온실가스 감축 부담'(15%) 등의 순으로 답했다. 또 기업 경영환경 개선을 위한 지원정책에 대해서는 '세제 지원 확대'(30%)를 가장 시급하다고 꼽았다.
유환익 전경련 기업정책실장은 “원자재 가격 불안정과 공급망 차질의 악재가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코로나19의 재확산도 여전히 불안 요인"이라며 "호랑이의 해인 2022년에 우리 기업들이 어려운 여건을 돌파할 수 있도록 적극적이고 선제적인 정책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