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면 우리나라는 수익성이 높은 고부가가치 선박을 중심으로 2∼3년간의 수주잔고(남은 건조물량)를 채워, 전체 수주량에 연연할 필요가 없다는 목소리도 크다.
5일 영국의 조선·해운 시황 분석업체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올해 1∼11월 전 세계 누적 선박 발주량은 4498만8224CGT(표준선 환산톤수)로 집계됐다.
중국은 이 가운데 2191만8790CGT를 차지, 점유율 48.7%로 수주 1위를 차지했다. 그 뒤는 한국이 1695만7415CGT(37.7%)를 기록했다.
우리나라는 극심한 조선업 불황이 닥쳤던 2018년부터 3년간 전 세계 수주 1위를 차지했다. 하지만 최근 해상운임이 급등하면서 중국은 작년 대비 10배 이상 발주가 늘어난 컨테이너선 수주를 싹쓸이해 우리나라를 추월했다.
중국은 올해 1∼11월 컨테이너선 발주량 1910만3190CGT의 59%인 1126만3944CGT를 수주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한국은 이의 절반이 조금 넘는 659만6281CGT(34.5%)를 수주해 전체 수주량에서 뒤질 수밖에 없었다는 분석이다.
컨테이너선은 초대형 규모나 친환경 연료 추진선을 제외하고는 건조가 어렵지 않아 중국이 주력하고 있는 선종이지만 수익성은 크지 않다.
반면 우리나라는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이나 액화석유가스(LPG) 운반선 등 고부가가치 선박 수주에선 압도적 점유율을 보였다.
LNG 운반선은 같은 기간 전 세계에서 592만3793CGT가 발주됐는데 한국은 91.0%인 538만8722CGT를 수주했다. 중국의 수주는 53만5071CGT(9.0%)에 그쳤다.
LNG선은 LNG가 기체로 소실되는 양을 최소한으로 해야 하기 때문에 높은 기술력이 필요하고, 이 때문에 선종 중에서 가장 가격이 비싸다.
최근 친환경 이중연료 추진선으로 대부분 발주되는 LPG 운반선도 한국의 수주 점유율은 70.4%에 달했다. 중국의 수주율은 18.3%였다.
업계 관계자는 “올해 빅사이클로 인해 컨테이너선 발주가 급증했고, 도크(건조공간)가 제한된 상황에서 국내 업체들은 고수익 선종을 중심으로 선별 수주했다”면서 “2∼3년치 수주잔고를 채운 상황에서 양적 수주량은 중요하지 않다는 판단”이라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