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총인구가 줄어드는 현상이 올해 처음 발생한다. 사망자가 출생아 수보다 더 많은 현상이 심화하고, 코로나19로 외국인 유입도 줄어서다.
9일 통계청이 발표한 '장래인구추계: 2020~2070년'을 보면 올해 총인구는 5175만명으로 지난해 5184만명보다 9만명 줄어든다.
우리나라 인구가 지난해 정점을 찍은 뒤 감소세로 돌아선다는 뜻이다. 통계청은 2019년 3월 인구 정점 시기를 2028년(5194만명)으로 내다봤는데 8년이나 앞당겨진 셈이다.
2020년 처음 발생한 사망자 수가 출생아 수를 넘어서는 '데드크로스' 현상이 올해도 이어지고, 국내에 들어오는 외국인마저 줄어든 탓이다.
김수영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인구 자연감소가 2020년부터 계속되는 가운데 코로나19 영향으로 국제 순유입이 감소하고 혼인·출산 감소세가 확대하면서 총인구가 올해부터 감소세로 전환했다"고 설명했다.
인구절벽 현상은 더 심화할 전망이다. 통계청은 향후 10년간 국내 인구가 매년 6만명가량 감소할 것으로 보고 있다. 2030년 인구는 5120만명, 2040년엔 5019만명을 기록하다 2050년에는 4736만명으로 5000만명대 밑으로 내려간다. 여기에 그치지 않고 2060년엔 4262만명, 2070년엔 3766만명으로 급감한다. 지난해 기준으로 보면 50년 사이에 1418만명이나 줄어드는 것이다.
더 심각한 전망치도 있다. 통계청은 인구절벽 심화로 2030년 5015만명이던 인구수가 2070년 3153만명까지 감소할 수 있다고도 내다봤다.
고령화도 심화한다. 국내 인구 중위연령은 2070년 62.2세까지 높아진다. 중위연령은 전체 인구를 연령순으로 나열할 때 한가운데에 있는 사람 나이다. 지난해 43.7세였던 중위연령이 50년 만에 20살 가까이 올라가는 것이다.
이 여파로 생산연령인구 100명이 돌봐야 할 유소년이나 노인 수를 나타내는 총부양비는 2056년에 100명을 넘어서고, 2070년에는 117명까지 늘어난다. 부양인구 대부분은 노인이다. 2070년 유소년부양비는 16.2명 수준이나 노년부양비는 100.6명까지 증가한다.
장래인구추계는 2020년 인구총조사 결과와 출생·사망·국제이동 같은 최근까지 인구변동요인 추이를 반영해 미래 인구변동요인을 가정한 뒤 향후 50년(2020~2070년)간 인구를 전망한 결과다.
통계청은 이날 '100년 추계'도 발표했다. 100년 추계를 보면 2120년 우리나라 인구는 2095만명으로 줄어든다. 가장 비관적인 시나리오를 적용하면 2020년의 23.4% 수준인 1214만명으로 떨어진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