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경기도-경기남부자치경찰위원회, 빅데이터 활용해 어린이·노인보호구역 신설 제안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수원)강대웅·송인호 기자
입력 2022-01-03 09:45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보호구역 62개 구간 신설 제안, 교통사고 다발지역 10여 개소 등 특별대책 추진

  • 수원시, 망포역 인근 어린이 보호구역·팔달문시장 일대 노인보호구역 지정 펼요

 

빅데이터 분석 자료 이미지 모습 [사진=경기도]

경기도와 경기남부자치경찰위원회가 도내 전역의 교통약자 빅데이터 분석을 완료, 수원시 망포역 인근을 포함한 62개 지역 등에 대한 보호구역 신설 여부를 면밀히 검토하기로 하는 한편 지역별 보행사고 밀집 구역 10여 개소에 대한 유관기관 합동 일제점검 등 보행안전 강화 특별대책을  추진하기로 했다. 

3일 도와 경기도남부자치경찰위원회에 따르면 도는 경기남부권 21개 시군(31개 경찰서)별 지리정보데이터에 통신사 유동인구 데이터 7700만 건과 최근 5년간의 교통 보행사고 데이터 1만 2918건을 연계, 분석해 이 같은 결과를 도출했다.

도에 따르면 보호구역 관리를 위한 과학적-통일적 관리 기준을 도출하기 위한 것으로 분석을 위해 △경기남부 전역을 50×50m의 격자 약 23만 개로 분할하고, △격자별로 어린이(10세 미만)와 노인 연령대(60대 이상)의 통신사 유동인구를 입력한 다음 △시군별 유동인구 밀집도를 5단계로 분류한 뒤 △경찰에서 관리중인 보호구역과 교통사고 발생현황을 입력해 보호구역 관리에 필요한 교통자료를 지리정보시스템상에 구현했다.

분석 연구를 통해 도는 보호구역 신설 검토가 필요한 지점을 시군별로 2개소씩 선정했다.

수원시의 경우 아파트단지와 초등학교-유치원이 밀집한 망포역 인근을 어린이보호구역으로 노인 보행유동인구가 밀집해 있고 교통사고가 잦은 팔달문시장 일대를 노인보호구역으로 지정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분석결과 나왔으며 이에따라 경기도남부자치경찰위원회는 올 초 유관기관 합동 보호구역 안전진단을 실시해 해당 지점 등에 대한 안전관리 방안을 시군 측과 협의할 방침이다.

또한 교통약자 보행안전 강화 특별대책을 추진할 곳으로는 유·초등 교육기관이 밀집해 있고 보호구역 내 어린이 사고 발생이 높은 △안산시 상록구 본오동 일원(2016년 1월~2021년 8월 보행사고 37건)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 일원(32건) △이천시 창전동 일원(25건) △부천시 심곡동 일원(24건)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3동 일원(23건)과 노인보호구역 내 사고 발생이 높은 △성남시 수정구 수진1동 일원(78건) △성남시 중원구 성남동 일원(76건) △부천시 원미동 일원(62건) △수원시 장안구 영화동 일원(61건) △이천시 중리동 일원 등을 우선 검토중이다.

전승현 도 데이터정책과장은 “담당 공무원의 직관적 관측과 경험에 의존했던 교통안전 보호구역 선정 문제를 전국 최초로 데이터에 기반해 과학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며 “앞으로 더욱 다양한 도정 현안을 실용적으로 분석해 과학도정 수행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