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2/01/14/20220114145643924368.gif)
평화지역 군사시설보호구역 현황도 [사진=강원도]
도에 따르면 이번 조치는 주로 취락지 및 관광구역 등 토지 활용도가 높은 지역을 중심으로 이뤄져 최근 국방개혁으로 더욱 어려움을 겪는 평화지역(철원, 화천, 양구, 인제, 고성) 주민들의 불편을 해소하고 재산권 보호에 크게 도움이 될 전망이다.
군사보호구역의 완화는 특히 평화지역 중심으로 이뤄졌으며 통제보호구역이었던 철원군 철원읍 중리ㆍ관전리, 동송읍 이길리, 갈말읍 정연리 등이 제한보호구역으로 완화돼 건축물의 신축이 가능해졌다.
또 제한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 있어 군부대로부터 신축 허가를 받아야 했던 철원군 동송읍 장흥리, 갈말읍 상사리와 양구군 양구읍 동수리ㆍ공수리ㆍ도사리, 동면 임당리ㆍ팔랑리 등이 행정기관에서 허가를 받는 협의위탁 구역으로 완화됐다.
또한 지난 50년 동안 재산권 침해와 지역 발전의 저해 요인으로 제기돼 왔던 철원군 서면 와수리 일대 1.2㎢에 대해 기존 8m로 지정돼 있던 고도를 45m로 완화해 15층까지 건축이 가능하게 됐다.
도는 지역발전 기반 마련과 주민 재산권을 보장하는 차원에서 매년 군사시설보호구역 해제 및 완화 과제를 발굴해 현지 군부대, 합참 및 국방부 등에 지속적으로 적극 건의할 방침이다.
최복수 도 행정부지사는 “2022년에도 기업유치 및 관광개발 구역, 취락지역 등을 중심으로 군사규제 개선이 필요한 과제를 집중 발굴하여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