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동안 집값 상승 자극 요인으로 꼽혔던 갭투자의 씨가 말랐다. 대출 규제의 벽이 높아지는 가운데 집값 고점 심리와 주택 거래 둔화가 맞물리면서 투기 수요가 위축됐다는 분석이다.
20일 부동산 정보업체 아실(아파트실거래가)에 따르면 이달 서울 지역의 갭투자로 추정되는 매매 거래 건수는 8건이었다.
6개월 전인 지난해 7월(662건)과 비교하면 99% 급감한 수준이다. 지난달(59건)과 비교해도 7분의 1 수준으로 줄었다.
아직 1월 매매 거래 신고기간이 남아있어 수치는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지만, 건수는 20건을 밑돌 것으로 보인다.
전체 매매 거래에서 갭투자가 차지하는 비중도 줄고 있다. 지난해 7월 갭투자 비중은 13.6%였지만 이달에는 11% 수준으로 내려왔다.
이같은 현상이 나타난 데는 주택 구매 자금줄이 막혔기 때문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의견이다. 가뜩이나 대출 규제가 강화된 상황에서 올해부터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조기시행으로 대출 받기가 더 어려워졌다.
서울시가 목동·압구정동 등 주요 재건축 단지에 토지거래허가제를 적용한 것이 전체적인 갭투자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는 의견도 있다. 2년간 실거주할 사람만 허가를 받을 수 있어 갭투자로 진입하기는 사실상 불가능하다.
강남구의 한 공인중개업자는 "최근 집값이 고점이라는 인식과 함께 수요자들이 대출을 받기 힘들게 되면서 거래 자체가 줄어들었다"며 "전세를 끼고 매매를 하겠다는 문의는 근래 들어 전혀 없다"고 말했다.
다만, 하반기에도 이같은 분위기가 이어지지는 않을 것이란 의견이 지배적이다.
임대차법 만료에 따른 전세 신규계약건이 대거 쏟아지면 전셋값이 다시 튀어오를 수 있기 때문이다. 전셋값 상승은 갭투자를 야기하는 대표적인 요인으로 지목된다.
업계 관계자는 "오는 8월 이후 임대차법에 따른 전세난으로 매매가격 상승률보다 전세가격 상승률이 가팔라지면 갭투자가 다시 성행할 수 있다"며 "갭투자자들이 유입되면 이제 막 하향 안정화에 접어든 아파트값이 다시 상승 전환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