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여론조사 전문기관 '한국갤럽'이 지난 18~20일 전국 만 18세 이상 1002명을 대상으로 조사(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포인트, 21일 공표)한 결과에 따르면 이 후보는 34%, 윤 후보는 33%의 지지율을 각각 기록했다. 두 후보 간 격차는 1%로 오차범위 내다. 이 후보는 전주 대비 3%포인트 하락한 반면 윤 후보는 2%포인트 상승했다.
다음으로 안 후보가 전주와 동일한 17% 지지율을 보였다. 이어 심상정 정의당 대선 후보가 3%를 기록했다. 응답자 중 12%는 의견을 유보했다.
정당 지지도 조사에서는 국민의힘 34%, 민주당 33%였다. 양당 모두 전주와 동일하다. '지지 정당이 없다'는 응답도 전주와 같은 19%였다. 이어 국민의당 6%, 정의당 4%였다.
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리서치·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가 지난 17∼19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전국지표조사(NBS,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 20일 공표)에서도 이 후보와 윤 후보는 4자 가상대결에서 각각 34%, 33%의 지지율을 기록했다.
이 후보는 직전 조사 대비 3%포인트 하락했고 윤 후보는 5%포인트 상승하면서 두 후보 간 격차가 9%포인트에서 1%포인트로 좁혀졌다. 오차범위 내다.
이어 안 후보가 전주 대비 2%포인트 하락한 12%, 심 후보는 전주와 동일한 3%로 집계됐다. '지지 후보가 없다' 또는 '모른다'고 답한 '태도 유보' 응답자는 전주와 같은 17%였다.
야권 후보 단일화 필요성에는 46%가 동의했다. 42%는 동의하지 않았다. 단일화에 적합한 후보로는 안 후보(40%)가 윤 후보(34%)보다 우세했다. 다만 '단일화가 필요하다'고 한 응답자만 봤을 때는 윤 후보가 52%, 안 후보가 37%로 조사됐다.
'지지 여부와 상관없이 어느 후보가 당선될 것으로 보느냐'는 문항에는 응답자 가운데 40%가 이 후보를 선택했다. 윤 후보를 꼽은 응답자는 34%에 그쳤다. 두 후보 간 격차는 6%포인트로 직전 조사 21%포인트 대비 매우 감소했다.
지지 여부와 별개로 당선이 유력해 보이는 후보를 조사하자 응답자 중 절반에 가까운 46.9%가 이 후보를 꼽았다. 37.4%는 윤 후보를 선택했다.
차기 대선 성격과 관련해 '정권연장을 원한다'는 의견은 38.2%, '정권교체가 필요하다'는 의견은 54.5%로 조사됐다. 특히 '정권교체가 필요하다'고 답한 응답자 중 과반인 65%가 '후보 단일화가 필요하다'고 답했다.
야권 단일화에 적합한 후보로는 안 후보가 48.1%, 윤 후보가 39.4%로 집계됐다. 다만 '단일화가 필요하다'고 한 응답자만 놓고 봤을 때는 윤 후보가 60.9%로 32.6%를 기록한 안 후보보다 크게 우세했다.
윤 후보로 단일화할 경우 가상 3자대결 조사에서는 이 후보 38%, 윤 후보 42.1%로 조사됐다. 두 후보 간 격차는 4.1%포인트로 오차범위 내다. 하지만 안 후보로 단일화할 경우 이 후보 31%, 안 후보 48.5%로 두 후보 간 격차가 오차범위 밖인 17.5%포인트까지 벌어졌다.
칸타코리아가 조선일보·TV조선 의뢰로 지난 15∼16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10명을 대상으로 조사(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포인트, 17일 공표)한 결과에서도 이 후보가 31.7%, 윤 후보가 32.8% 지지율을 각각 기록해 오차범위 내 초접전 흐름을 이어갔다. 이 후보는 지난달 28∼30일 진행한 직전 조사 대비 0.7%포인트 하락했고 윤 후보는 1.4%포인트 올랐다.
다음으로 안 후보가 직전 조사 대비 6.0%포인트 상승해 지지율이 두 배가량인 12.2%를 기록했다. 이어 심 후보는 1.0%포인트 하락한 2.7%로 집계됐다.
윤 후보가 야권 단일 후보로 나설 경우 가상 3자대결에서 이 후보가 32.2%, 윤 후보 39.3%, 심 후보 3.9%로 조사됐다. 안 후보가 야권 단일 후보일 경우에는 이 후보 26.6%, 안 후보 47.9%, 심 후보 2.5%였다.
야권이 윤 후보로 단일화할 경우 지지율은 이 후보 37.2%, 윤 후보 45.3%로 오차범위 밖인 8.1%포인트까지 격차가 벌어졌다. 안 후보로 야권 단일화가 이뤄질 경우 이 후보 31.3%, 안 후보 51.0%로 격차가 19.7%포인트까지 벌어졌다.
기사에 인용된 여론조사들의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