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서울형 공유어린이집’ 확대 시행을 통해 국공립어린이집 입소 대기 수요 완화와 가정·민간어린이집 관리감독 강화에 박차를 가한다.
서울시는 작년 8월부터 8개 자치구에서 시행 중인 '서울형 공유어린이집'을 전 자치구로 확대한다고 24일 밝혔다.
오세훈 시장의 공약 사업인 '서울형 공유어린이집'은 도보 이용권에 있는 3∼5개 국공립·민간·가정어린이집을 하나의 공동체로 묶어 아이들을 함께 키우는 공동보육모델이다. 현재 8개 자치구에서 14개 공동체(58개 어린이집)가 운영 중이다.
시는 기존 참여 어린이집을 포함해 올해 운영 공동체를 총 40개(150개 어린이집)로 확대한다. 새로 참여할 26개 공동체(92개 어린이집)는 28일부터 다음 달 8일까지 공개 모집한다.
각 자치구는 참여할 어린이집을 모아 1~2개 공동체를 구성해 신청하면 된다. 각 공동체에는 국공립어린이집·서울형어린이집·현원 100인 이상인 어린이집(유형 무관) 중 1곳 이상이 포함돼야 한다.
서울시는 선정위원회 심사를 거쳐 2월 중 선정을 완료하고, 3월부터 운영에 들어간다.
올해부터는 양육자와 지역사회가 활동에 참여하는 '다함께 어린이집'과 '생태친화 어린이집' 보육모델을 필수로 적용한다. 희망하는 공동체에는 ‘놀이 중심 프로그램’ 컨설팅도 제공한다.
더불어 서울여성가족재단과 서울시육아종합지원센터가 야간 보육이나 공동 통합차량 운영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시행할 수 있는 컨설팅과 운영비도 지원한다.
비용 지원 항목으로는 △다양한 보육 모델과 놀이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특화 프로그램비(500만원) △시설별 생태환경조성비(연 70만원) △자치구별 공동체 총괄지원인력 수당(월 19만∼24만원) △운영협의회 운영비(월 10만원) 등이 있다.
서울시 여성가족정책실 관계자는 “국공립·민간 등 다양한 형태의 어린이집들이 교보재와 교육커리큘럼 등을 교류하며 보육서비스의 상향평준화가 기대된다”며 “상대적으로 폐쇄성이 높던 민간·가정 어린이집에 대한 관리감독 강화 효과도 전망된다”고 밝혔다.
이어 “그간 국공립어린이집에 대한 수요가 높아 입소 대기 기간이 매우 길었다. 보육서비스 상향평준화가 이뤄지면 입소 대기 수요도 분산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선순 여성가족정책실장은 "올해 전 자치구 확대를 통해 어린이집의 상생과 협력 활동이 하나의 문화로 자리 잡을 것"이라며 "앞으로도 더 많은 아동과 어린이집이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사업을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