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2/01/26/20220126135549338099.jpg)
구리시청[사진=구리시]
경기 구리시(시장 안승남)가 오는 2026년까지 미래 신성장 동력 발굴을 목표로 구리형 스마트 혁신도시 모델을 창출한다.
최귀영 구리시 대변인은 26일 정례브리핑에서 "앞선 지난해 12월 이런 내용을 담은 스마트 도시계획을 국토교통부로부터 최종 승인받았다"고 밝혔다.
스마트 도시계획에는 올해부터 2026년까지 구리형 스마트 혁신도시 모델 창출을 위한 스마트도시 비전과 5대 추진 목표, 33개 세부 실행과제 등 스마트도시 서비스 구축을 위한 중장기 로드맵이 담겼다.
최 대변인은 "스마트 도시계획은 정보통신(ICT), 빅데이터 등 신기술을 접목해 각종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고, 지속 가능한 발전 플랜을 담고 있다"며 "중앙정부가 지원하는 공모사업을 신청해 사업 예산을 확보할 것"이라고 밝혔다.
5대 목표로 스마트 성장도시, 녹색도시, 시민중심도시, 데이터도시, 특별시를 제시했다.
추진전략은 유망산업 지원 도시서비스 발굴·연계, 시민·자연 공감 스마트 환경 조성, 시민 체감형 서비스·정보 제공, 스마트 특별시 위상 제고를 담고 있다.
실행 과제로 스마트 제조업 지원, 스마트 에너지 통합관리, 시민소통 리빙랩, 스마트 정보게시판, 스마트 안심트리 등을 연도별, 단계별로 추진한다.
시는 우선 세부 실행과제를 추진하고, 기존 스마트 인프라에 연계하고자 전담부서를 신설할 계획이다.
또 2026년까지 1~3단계 단계별 이행계획을 수립해 추진한다.
1단계로 2023년까지 기존 서비스 고도화를 위한 서비스 범위를 확대하고, 조례 등 각종 제도 근거를 마련한다.
2023~2024년 2단계로 민간 참여를 유도해 민간 주도의 스마트도시를 정착에 힘쓴다.
3단계로 2025년 이후 지역 사회 전반에 스마트도시 서비스를 확산시킨다.
시민이 일상에서 스마트도시를 체감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다양한 스마트도시 비즈니스 창출을 지원한다.
특히 단계별 계획의 연계성과 지속성을 강화하고자 2026년 이후에도 스마트도시 계획이 반영될 수 있도록 한다.
시는 스마트도시 인프라 확충과 스마트서비스 제공에 221억원을 투입될 것으로 보고, 국고 보조금 확보에 주력할 계획이다.
앞선 지난 2021년 3월 국토부의 스마트시티 솔루션 확산 사업에 선정, 국·도비 10억8000여만원을 확보했다.
확보한 예산으로 스마트 횡단보도, 스마트 버스정류장을 설치한 바 있다.
시는 스마트도시 서비스 등을 시 재정사업으로만 추진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보고 있다.
이에 수요가 있는 곳에 수익이 창출될 수 있는 서비스는 민간 사업자 또는 민·관과 협력하는 방식으로 추진한다는 복안이다.
반면 SOC 등 인프라 구축에 필요한 재원은 중앙정부 공모사업을 유치해 국비를 확보해 재원을 조달할 방침이다.
신규로 도시개발이나 도시재생사업, 산업단지 등이 시행되면 필수적으로 스마트도시 기반 시설과 서비스 기능을 갖추도록 할 계획이다.
최 대변인은 "스마트 도시계획이 대한민국 지자체 중 선도적인 모델 사례로 자리매김 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