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
![아랍에미리트(UAE), 사우디아라비아, 이집트 등 중동 3개국 순방을 마친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숙 여사가 22일 오전 성남 서울공항에 도착,공군 1호기에서 내려 이동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2/01/26/20220126145117409855.jpg)
아랍에미리트(UAE), 사우디아라비아, 이집트 등 중동 3개국 순방을 마친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숙 여사가 22일 오전 성남 서울공항에 도착,공군 1호기에서 내려 이동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양국 정상은 수교 60주년을 축하하고 정상 간 우의를 다졌다고 박경미 청와대 대변인이 전했다.
박 대변인에 따르면, 문 대통령은 서한에서 한국과 멕시코가 1962년 수교 이래 우호 협력 관계를 꾸준히 발전시켜 왔다고 평가했다.
이어 2005년 ‘전략적 동반자 관계’ 수립을 토대로 양국 협력이 지속 확대되고 있다고 했다.

정부는 수교 60주년을 계기로 지난 2008년 이후 중단된 멕시코와의 FTA 협상 재개를 추진하고 있다. 멕시코는 중남미 국가 중 1위 교역 대상국이다.
PA는 멕시코·칠레·페루·콜롬비아 4개국 간 결성한 지역 연합으로, 한국의 PA 준회원국 가입은 한·중남미 기업 간 협력과 사업 기회 확대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오브라도르 대통령은 수교 60주년을 맞이해 축하 서한을 보내 기쁘게 생각한다며 한·멕시코가 지난 60년간 정치, 경제 등 각 분야에서 긴밀한 우호 관계를 발전시켜 왔다고 평가했다.
또한 오르바라도 대통령은 한국과 멕시코가 양자는 물론 다자 협력 분야에서도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심화해 온 것에 의미를 부여했다.
오브라도르 대통령은 수교 60주년인 이날 우호와 연대, 상호 존중에 기반한 양국 공동의 새로운 역사가 시작될 것이라면서 거대한 시대적 도전에 맞서 한국과 멕시코 국민을 위한 더 나은 미래지향적 협력을 지속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