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은 지난 25일 장거리 순항미사일과 27일 지대지 전술유도탄의 시험발사가 연속해서 성공했다고 28일 밝혔다.
조선중앙통신은 이날 "국방과학원은 1월 25일과 27일 장거리 순항미사일 체계 갱신을 위한 시험발사와 지상 대 지상(지대지) 전술유도탄 상용전투부위력 확증을 위한 시험발사를 각각 진행하였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발사된 2발의 전술유도탄들은 목표 섬을 정밀타격하였으며 상용전투부의 폭발위력이 설계상 요구에 만족된다는 것이 확증되었다"고 부연했다. 지대지 전술유도탄은 '북한판 이스칸데르'로 불리는 'KN-23 개량형'으로 추정된다.
통신은 25일 순항미사일 발사 성공 사실을 뒤늦게 확인했다. 통신은 "발사된 2발의 장거리 순항미사일들은 조선 동해상의 설정된 비행 궤도를 따라 9137초(2시간 35분 17초)를 비행하여 1800㎞ 계선의 목표 섬을 명중하였다"면서 "장거리 순항미사일 체계의 실용적인 전투적 성능은 나라의 전쟁억제력 강화의 일익을 믿음직하게 맡게 된다"고 설명했다.
합동참모본부는 전날 오전 함경남도 함흥 일대에서 북동쪽 동해상으로 단거리 탄도미사일 추정 발사체 2발이 발사됐다고 밝혔다. 합참은 미사일 비행 거리를 약 190㎞, 고도는 약 20㎞로 탐지했다.
새해에만 6번째 미사일 발사로, 순항미사일을 발사한 지 불과 이틀 만이다. 지난 20일 핵실험과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 유예(모라토리엄) 철회 가능성을 내비친 이후 감행된 첫 탄도미사일 발사이기도 하다. 특히 지난해 총 8번의 미사일을 쏜 것과 비교하면 과한 무력 행보다.
통신은 또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관련 군수공장을 시찰했다고 밝혔으나 날짜와 장소는 공개하지 않았다. 김 위원장의 군수공장 시찰은 2019년 6월 자강도 일대 군수공장 이후 2년 8개월 만이다. 이는 미국 제재 등에도 불구하고 독자노선을 가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김 위원장은 "우리 무력의 현대화와 나라의 국방발전전략실현에서 공장이 맡고 있는 위치와 임무가 대단히 중요하다"며 "당의 혁명 위업을 강위력한 첨단무장으로 옹위해나갈 일념"을 강조했다고 통신은 설명했다.
조선중앙통신은 이날 "국방과학원은 1월 25일과 27일 장거리 순항미사일 체계 갱신을 위한 시험발사와 지상 대 지상(지대지) 전술유도탄 상용전투부위력 확증을 위한 시험발사를 각각 진행하였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발사된 2발의 전술유도탄들은 목표 섬을 정밀타격하였으며 상용전투부의 폭발위력이 설계상 요구에 만족된다는 것이 확증되었다"고 부연했다. 지대지 전술유도탄은 '북한판 이스칸데르'로 불리는 'KN-23 개량형'으로 추정된다.
통신은 25일 순항미사일 발사 성공 사실을 뒤늦게 확인했다. 통신은 "발사된 2발의 장거리 순항미사일들은 조선 동해상의 설정된 비행 궤도를 따라 9137초(2시간 35분 17초)를 비행하여 1800㎞ 계선의 목표 섬을 명중하였다"면서 "장거리 순항미사일 체계의 실용적인 전투적 성능은 나라의 전쟁억제력 강화의 일익을 믿음직하게 맡게 된다"고 설명했다.
새해에만 6번째 미사일 발사로, 순항미사일을 발사한 지 불과 이틀 만이다. 지난 20일 핵실험과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 유예(모라토리엄) 철회 가능성을 내비친 이후 감행된 첫 탄도미사일 발사이기도 하다. 특히 지난해 총 8번의 미사일을 쏜 것과 비교하면 과한 무력 행보다.
통신은 또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관련 군수공장을 시찰했다고 밝혔으나 날짜와 장소는 공개하지 않았다. 김 위원장의 군수공장 시찰은 2019년 6월 자강도 일대 군수공장 이후 2년 8개월 만이다. 이는 미국 제재 등에도 불구하고 독자노선을 가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김 위원장은 "우리 무력의 현대화와 나라의 국방발전전략실현에서 공장이 맡고 있는 위치와 임무가 대단히 중요하다"며 "당의 혁명 위업을 강위력한 첨단무장으로 옹위해나갈 일념"을 강조했다고 통신은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