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상 최대 실적이라는데…올 1월 은행원 1800명 짐쌌다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서민지 기자
입력 2022-02-03 15:16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사진=자료사진]

지난해 은행권이 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한 가운데 올 들어서만 4대 시중은행에서 1800명 이상이 희망퇴직으로 짐을 쌌다. 역대급 실적을 올린 은행들이 퇴직금을 두둑하게 지급한 데다 디지털 전환에 맞춰 인력을 구조조정한 결과로 풀이된다.

3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우리·하나 등 4대 은행에서 지난달 희망퇴직 형태로 떠난 직원은 1817명이다. 국민은행에서는 674명이 희망퇴직을 신청했다. 시중 은행 가운데서 가장 큰 규모다. 이어 하나은행에서는 준정년 특별퇴직 대상자 250명, 임금피크 대상자 228명 등 모두 478명이 떠났다. 우리은행과 신한은행에선 각각 415명과 250명이 희망퇴직을 결정했다.

최근 4개월로 기간을 넓히면 은행권 희망퇴직자는 무려 5000명이 넘는다. 지난해 10월에는 외국계은행인 SC제일은행에서 약 500명이 특별퇴직했다. 그해 11월에는 소매금융 철수를 결정한 한국씨티은행에서 전체 직원의 66%인 2300명이 희망퇴직했다. NH농협은행에서도 427명이 희망퇴직 형태로 나갔다. 

은행권에서 연초부터 퇴직자가 쏟아진 배경에는 '역대급'으로 평가되는 희망퇴직 조건이 있다. KB국민은행은 희망퇴직자에게 직급·근속연수에 따라 23~35개월치 급여와 최대 2800만원에 달하는 학자금을 지급한다. 재취업지원금은 지난해보다 600만원 오른 최대 3400만원이다. 다른 시중은행도 최대 36개월치 임금을 특별퇴직금으로 지급한다.

직원들이 대상자 확대를 요청하는 사례도 생기고 있다. 시중은행의 희망퇴직 연령은 40대 초반까지 내려갔다. 우리은행은 행원급 1980년생까지 희망퇴직 신청을 받았다. 하나은행도 15년 이상 근무한 만 40세 이상 일반 직원에게 특별퇴직 신청 기회를 줬다.

시중은행은 코로나 팬데믹 기간 늘어난 대출 수요에 힘입어 연일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하며 이 같이 파격적인 조건을 내걸 수 있었다. 은행들은 직원들의 희망에 따라 대상자 범위도 넓혔다. 우리·하나은행의 경우 만 40세 이상 직원에게까지 직급을 불문하고 특별퇴직 신청을 받았다.

은행들의 디지털 전환에 따라 영업점과 인력을 축소하고 비대면 업무를 확대하는 것도 대규모 희망퇴직에 영향을 주고 있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강민국 국민의힘 의원이 금융감독원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6년부터 2021년 10월까지 폐쇄된 국내 은행 점포는 총 1507곳에 달했다. 연도별로 보면 △2016년 273곳 △2017년 420곳 △2018년 115곳 △2019년 135곳 △2020년 332곳 △2021년 1~10월 238곳 등이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