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사회에 노동자 대표가 참여하는 '노동이사제'가 기업이 자율적으로 결정하도록 해야 한다는 재계의 목소리가 나온다. 공공기관 노동이사제 도입을 앞두고 노사 간 갈등을 줄이기 위해 필요하다는 시각이다.
한국경영자총협회는 7일 '노동이사제 도입 시 문제점'을 주제로 한 노동정책이슈보고서에서 이 같은 입장을 밝혔다.
보고서는 공기업 및 준정부기관의 노동이사제 도입과 관련한 내용을 다뤘다. 노동이사제 도입 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과 노동이사제를 최초로 도입한 독일과의 비교를 담았다.
앞서 지난달 11일 국회 본회의에서 공공기관 노동이사제 도입을 골자로 한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 개정안이 통과됐다. 시행 시기는 공포일로부터 6개월 이후다.
개정안은 공기업과 준정부기관에서 3년 이상 재직한 근로자 중 근로자 대표 추천이나 근로자 과반수 동의를 받은 1명을 공공기관 비상임 노동이사에 임명하도록 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비상임 노동이사는 이사회에서 발언권과 의결권을 행사할 수 있다.
보고서는 우리나라의 대립적·갈등적 노사관계 현실을 고려하면 노동이사제 도입을 의무화하기보다는 기업의 필요에 따라 자율적으로 도입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강조했다. 노동이사제로 이사회에서 노사 간 대립이 심각해질 수 있고, 그로 인해 경영상 의사결정의 전문성과 신속성을 저해할 우려가 크다는 것이다.
보고서는 전국 4년제 대학 경제·경영학과 교수 200명을 대상으로 인식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57%가 노동이사제가 우리나라의 경제시스템에 부합하지 않는다고 평가했고 응답자의 68.5%는 도입 시 노조 측으로 힘 쏠림 현상이 심화될 것이라고 우려했다고 밝혔다.
또 독일경영자총협회(BDA)에 노동이사제 운영 실태 및 운영과정 문제점 등을 문의한 결과, 독일 기업에서도 노동이사제의 비효율성과 공동결정제도에 대한 문제가 제기돼 세제 및 공동결정제도 등을 이유로 EU 회원국으로의 이전을 신중하게 고민하고 있다는 답변을 받았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올해부터 공기업 및 준정부기관에 노동이사제 도입이 의무화되면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들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민간 부문에 대한 도입 확대로 이어지지 않도록 방지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한국경영자총협회는 7일 '노동이사제 도입 시 문제점'을 주제로 한 노동정책이슈보고서에서 이 같은 입장을 밝혔다.
보고서는 공기업 및 준정부기관의 노동이사제 도입과 관련한 내용을 다뤘다. 노동이사제 도입 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과 노동이사제를 최초로 도입한 독일과의 비교를 담았다.
앞서 지난달 11일 국회 본회의에서 공공기관 노동이사제 도입을 골자로 한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 개정안이 통과됐다. 시행 시기는 공포일로부터 6개월 이후다.
보고서는 우리나라의 대립적·갈등적 노사관계 현실을 고려하면 노동이사제 도입을 의무화하기보다는 기업의 필요에 따라 자율적으로 도입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강조했다. 노동이사제로 이사회에서 노사 간 대립이 심각해질 수 있고, 그로 인해 경영상 의사결정의 전문성과 신속성을 저해할 우려가 크다는 것이다.
보고서는 전국 4년제 대학 경제·경영학과 교수 200명을 대상으로 인식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57%가 노동이사제가 우리나라의 경제시스템에 부합하지 않는다고 평가했고 응답자의 68.5%는 도입 시 노조 측으로 힘 쏠림 현상이 심화될 것이라고 우려했다고 밝혔다.
또 독일경영자총협회(BDA)에 노동이사제 운영 실태 및 운영과정 문제점 등을 문의한 결과, 독일 기업에서도 노동이사제의 비효율성과 공동결정제도에 대한 문제가 제기돼 세제 및 공동결정제도 등을 이유로 EU 회원국으로의 이전을 신중하게 고민하고 있다는 답변을 받았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올해부터 공기업 및 준정부기관에 노동이사제 도입이 의무화되면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들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민간 부문에 대한 도입 확대로 이어지지 않도록 방지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