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금융감독원은 작년부터 속도가 붙고 있는 결제성 리볼빙 증가 추세를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결제성 리볼빙은 카드 대금 연체를 막기 위해 사용액 중 일부만 납부하고 나머지 금액은 차후에 갚도록 하는 서비스다.
금감원 여신담당 관계자는 “(최근의 리볼빙 증가세는) 앞서 카드론 등 대출 규제를 강화한 데 따른, 수익성 상쇄 움직임이라 판단한다”며 “지난 2012년부터 리볼빙 할 때 안내 및 공시를 잘할 것을 강조해왔고, 특히 소비자 지도가 제대로 이뤄지고 있는지 여부를 세세히 들여다볼 예정”이라고 말했다.
금융당국이 리볼빙에 신경을 쏟는 이유는 법정 최고 금리(연 20%)에 육박하는 고금리 때문이다. 여신금융협회에 따르면 7개 전업 카드사의 작년 4분기 평균 결제성 리볼빙 금리는 14.76~18.54%에 형성돼 있다. 이는 카드론(2.10~14.94%)보다도 높은 수준이다. 향후 연체 발생 시 큰 건전성 문제로 연결될 수 있다는 의미다. 채무자 입장에서의 부담도 크다.
올해는 이 같은 증가세에 더욱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지난해 카드사의 주된 수익원이던 카드론이 올해부터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산정에 포함되고, 이 비율도 60%에서 50%로 10%포인트 줄며 영업 환경이 악화됐기 때문이다. 카드사 입장에선 이를 상쇄할 대안이 필요하다. 이에 일부 카드사들은 작년 말부터 리볼빙 신규 신청 고객을 대상으로 커피쿠폰과 모바일 상품권을 지급하는 등 판촉 행사를 펼치고 있다.
최근 카드 사용액이 급증한 점도 이러한 흐름을 촉진한다. 여신협회 여신금융연구소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전체 카드 승인 금액은 260조6000억원, 승인 건수는 61억7000만건으로 각각 전년 동기보다 13.8%씩 늘었다. 카드 이용액이 늘어난 만큼 이용자들의 리볼빙 이용 수요도 증가할 가능성이 높다.
다만, 모든 카드사들이 이러한 흐름을 지향하는 것은 아니다. 일부 카드사의 경우, 결제성 리볼빙과 관련해 신규 영업은 중단한 채 찾아오는 고객 위주로 영업을 펼치고 있다. 카드사 입장에서도 적극적으로 취급 규모를 확대하기에는 아무래도 위험요인이 강하다는 판단이다.
한 카드업체 관계자는 “결제성 리볼빙은 기본적인 금리 자체가 높은 데다, 다양한 리스크가 상존하는 만큼 취급에 신중을 기하고 있는 상태”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