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2/02/11/20220211162126799609.jpg)
동해상공회의소[사진=이동원 기자 ]
11일 동해상공회의소는 건의서를 통해 “동해신항 개발사업은 2021년말 기준 방파제와 방파호안 등 항만 외곽시설 조성 공사가 90% 이상 진행되었고, 금년 상반기까지는 외곽 시설을 모두 완료한다는 계획으로 공사가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항만기반시설은 계획대로 진행이 되고 있으나, 계류 시설인 7개 부두의 조성 사업은 그 진척이 지지부진한 상황이다”며, “정부 탈석탄 정책의 영향으로 인한 사업여건 악화로 1번 석탄부두 민간사업자의 부두 공사 착공이 부득이하게 지연되고 있는 상황”이라며, “기타 광석 부두인 4~5번 부두와 시멘트 부두인 6~7번 부두는 아직까지도 사업자 선정을 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현실정을 말했다.
또, “동해신항 인근에는 연료 다소비업종인 대규모의 시멘트공장과 제련공장이 밀집되어 있으며, 이곳 역시 수소열원 이용 및 수소환원설비를 통한 탄소 저감이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된 상황”이라고 당위성을 강조 했다 .
이에 따라 “정부의 수소경제 이행 기본 계획과 강원 영동남부권 산업 특성에 비춰볼 때 수소 및 암모니아의 지역 수요는 대폭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수소의 반입, 생산, 저장 및 운송을 통합한 수소경제 생태계 구축이 필요하고 동해신항에 수소 및 암모니아 반입 전용의 수소전용 부두를 건설은 그 출발점이 될 것”이라며, “이에 동해상공회의소는 현재 개발이 진행 중인 동해신항에 ‘수소 및 암모니아 전용부두’를 재정투자사업으로 반영하여 건설해 줄 것을 청와대를 비롯한 관련 부처에 건의한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