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이 2500억원 넘는 투자자 피해가 발생한 디스커버리펀드에 대한 최종 징계 수위를 이르면 이번주 중 확정할지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징계와 관련한 당국의 심의 일정이 확실히 정해지지 않은 가운데 투자자들 가슴은 타들어가고 있다. 피해자들은 한국투자증권의 전례를 들어 100% 전액 보상을 요구하고 있는 반면 판매사인 기업은행과 IBK투자증권 측은 ‘배임’이라며 맞서고 있어 이들 간 갈등이 단기간에 봉합되기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14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금융당국은 디스커버리자산운용 대표와 디스커버리운용에 대해 최종 제재 수위를 위한 일정을 조율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위원회는 전날 설명 자료에서 “금융위는 디스커버리운용 제재안에 대해 금감원 검사 결과를 토대로 관련 법령, 절차에 따라 심의 중”이라고 밝혔다. 다만 금융위원회 논의 일정과 제재 내용에 대해서는 “확정된 바 없으며 조속한 시일 내에 마무리될 수 있도록 진행해나갈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일각에서는 금융당국의 제재 수위 최종 결정이 이르면 이번 주 중 금융위 정례회의에서 이뤄질 것으로 보고 있다.
앞서 금융감독원은 지난해 2월 장하원 디스커버리운용 대표와 디스커버리운용에 대한 제재심의위원회를 열고 각각 직무정지와 영업정지라는 중징계를 금융위원회에 건의한 바 있다. 임원에 대한 금융당국의 제재 수위는 △해임권고 △직무정지 △문책경고 △주의적경고 △주의 등 5단계며 이 중 문책경고 이상은 중징계에 해당한다. 디스커버리펀드에는 장하성 주중대사와 김상조 전 청와대 정책실장 등이 투자한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도 수사에 고삐를 조이고 있다. 경찰 관계자는 이날 오전 서울경찰청 기자간담회에서 “디스커버리가 개방형과 만기 출금 형식의 폐쇄형 펀드 두 개를 운영했다”며 “개방형 펀드에 투자한 이들도 대부분 손해를 봤다”고 밝힌 바 있다.
디스커버리펀드 사태는 디스커버리자산운용이 운용하던 2562억원 규모 펀드가 미국 현지 자산운용사의 법정관리로 환매가 연기돼 대규모 투자자 피해가 일어난 사건이다. 장하원 대표는 이번 정부 초대 청와대 정책실장을 지낸 장하성 주중대사의 친동생이다.
금융당국의 최종 결정만 남겨두고 있는 가운데 환매 연기로 인해 피해를 입은 투자자들은 잇달아 집회를 열고 전액 보상을 요구하고 있다. 기업은행과 IBK투자증권 디스커버리 사모펀드 피해자들은 16일 오전 11시 기업은행 앞에서 ‘진실 규명을 위한 피해자들의 기자회견’을 연다고 밝혔다.
피해자들은 “평생 모은 은퇴 노후자금 등을 4년째 돌려받지 못하고 있다”면서 “디스커버리펀드 사태는 개방형이냐 폐쇄형이냐 하는 문제가 아니다. 사태의 핵심은 정부의 사모펀드 활성화 정책 실패와 금감원의 사태 해결 미숙, 공기업인 기업은행의 피해자 외면과 의지 부족이 불러온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한국투자증권은 이미 동일한 문제를 안고 있던 디스커버리펀드에 대해 100% 보상을 단행한 바 있다”면서 “가입 당시 기업은행 직원들이 전국적으로 ‘장하성 동생이 운영하는 상품’이라며 저희들을 안심시키고 판매를 한 바 있다”고 말해 자신들은 ‘사기’를 당한 피해자라고 호소했다.
피해자들의 이 같은 호소에도 100% 전액 보상은 쉽게 해결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한국투자증권은 오너 기업이어서 전액 보상이라는 결단을 내릴 수 있었지만 기업은행은 정부 산하 은행”이라며 “이사회에서 반대하면 이를 강행하기 어려워 쉽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