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후보 공식 선거전은 생각하는 시기였다면 지금은 생각을 실천하는 '행동'의 시간입니다."
이어 위원장은 "선언적인 빈공약이 안되려면 구체적 실천전략을 밝혀야 된다"며 이번 대선에서 경남지역을 위한 전략도 제시했다.
그는 "경남도는 무한한 잠재력에 비해 발전이 많이 지체됐다. 경제 성장률도 출생률도 저하되고 있는 데다가 한해 55만 정도가 사회에 진출하고 있는데, 일자리는 약 40만개 정도로 15만개가 부족한 실정이다. 15만명이 넘는 사람들이 실업자가 되고 있는 셈"이라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국민의힘과 함께 기업, 근로자, 노조가 힘을 합쳐서 실업난을 극복하고 일자리를 늘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관제(官製) 일자리 증가와 고용보험기금 고갈, 보험료 인상으로 이어지는 도미노 현상으로 이어진 이번 문재인정부의 일자리정책도 전면 비판했다.
"이번 정부는 세금을 거둬, '관제(官製) 일자리' 증가에만 집중했고, 공기업에 인력이 필요가 있든, 없든 자리를 만들었다"며 "그러다가 LH공사는 그동안 늘린 사람들이 할 일이 없으니, 또 줄이는 일을 하고 있지 않은가? 공공부분을 늘려서는 한계가 있음을 보여 주는 사례이다. 그뿐아니라, 거의 적자 수준에 와 있는 건강보험 재정, 고용보험 재정이 심각한 수준이다"라고 지적했다.
이어, 국민의힘이 제시한 일자리 정책에 대해서는 "이번에 국민의 힘이 집권하게 되면 일자리가 늘 수 있도록 기업의 참여를 독려할 것이다. 윤 후보의 공약인 '모빌리티 혁신플랫폼 구축', '제조 메타버스 등 미래형 스마트 제조업으로 전환 적극 지원' 등이 그런 공약 중 하나"라고 설명했다.
그리고, 경남지역에서 노인 인구가 늘어남에 따라 '노인 기초연금 확대'와 '군필자 또는 취업을 준비하는 청년들에게 기초 자금'을 지원할 수 있는 경남 지역 '복지' 공약도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위원장은 "대학생들이 졸업후 미취업자들을 대상으로 대학 주변에 기거할 수 있는 집을 확보하고 거기에 창업을 할 수 있는 문화공간을 조성하는 것이다" 며 " 윤석열 후보의 공략 가운데 경남지역 문화적 소양 향상 등의 공약도 제시했다.
그러면서, “경남에서 가장 부족한 것이 문화, 그 중 4차산업 혁명과 관련된 디지털 문화다. 메타버스 등 각종 콘텐츠를 개발하는 것도 중요한 일이다. 학생들이 아이디어를 창안하도록 권유하고 싶다. 이와 관련된 중앙정부의 개발 지원금이 년 4천억이 있지만 경남 지역에서 이 분야에서 선정된 업체는 10군데 안팎이다. 그러니 학생들이 모를 수밖에 없다. 이러한 사업이 있음을 널리 알려, 청년뿐만 아니라, 창업, 제조업 등에서도 AI, 빅데이터, 메타버스 등과 결합할 수 있는 최첨단 기술에 대한 아이디어 창출을 독려해야 하다. 이러한 정책도 있음을 널리 알려, 다양한 일자리가 창출되어, 지역이 혜택을 많이 받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하면서 지역 주요 공약 설명을 뒷받침했다.
국민소득과 경제 순위는 세계 10대권에 들었지만 실제로 느끼는 문화적 소양은 아직까지도 부족한 점이 많기 때문에 이 부분에 공약 등을 발굴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한 연구개발을 뜻하는 R&D를 강조하며, 이를 지역 산업에 투입해 지역 혁신 체제를 구성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창원을 중심으로 R&D사업을 구축해 나가되 진해구에 재료 연구원과 함께 소형 선박 R&D를 조성하고. 대학과 정부, 기업과의 공조에 의해 전기와 수소경제를 육성하며, 서부 경남일원에 강소농을 구축하는 일 등 경남의 미래먹거리를 설계하고 있다고 전했다.
◆"대선이 곧 지방선거 운동"
이어 "여론조사와 지방 여론을 토대로, 투명하고, 공정하게 후보를 선정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덧붙였다.
끝으로 이 위원장은 인터뷰를 마무리하며 "국민의 힘이 그동안 반성도 많이 했다"며 "남해안 시대에서 경남의 때가 왔다고 생각한다. "선거를 통해 우리가 하나가 돼야 할 이유이기도 하다"고 전했다.
특히 "민주주의에서 에너지가 나오려면 믿음이 있어야 한다. 정부를 믿고, 정부를 끌고 가는 사람을 믿어야 한다. 신뢰가 중요하다. 후보 중에 누구를 신뢰할 지, 품성이 옳은 지를 따져봐야 할 것이다. 대통령 품성, 인품의 정도를 비교해서 국민의 힘에 힘을 실어달라"고 호소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