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통계청은 '2021년 출생·사망통계 잠정 결과'를 발표했는데 지난해 합계출산율(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은 0.81명으로 전년 0.84명보다 0.03명 감소했다. 2019년 0.92명에서 2020년 0.84명으로 0.08명 줄어든 것과 비교할 때 감소 폭은 다소 완화됐지만, 여전히 낮은 수준이다.
출생아 수는 26만명대로 더 내려갔다. 아기 엄마의 평균 출산연령은 33.4세로 더 늦어졌다.
2019년 기준 OECD 38개 회원국의 평균 합계출산율은 1.61명으로, 한국의 합계출산율은 OECD 평균의 절반 수준이다. 또 한국은 38개 회원국 중 유일하게 합계출산율이 1명을 밑도는 나라이다.
통계청은 장래인구추계 중 저위 시나리오에서 합계출산율을 올해 0.73명, 내년 0.68명으로 전망했다.
지난해 합계출산율을 시도별로 보면 △세종 1.28명 △전남1.02명 △강원(0.98명 순으로 높았고 △서울 0.63명 △부산 0.73명 순으로 낮았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