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홍성군 홍성읍, 옛 지명 속 선조의 지혜 전한다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내포)허희만 기자
입력 2022-02-28 11:26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홍성읍 행정복지센터, 2월 23일 '홍성읍 마을지명 유래' 책자 발간

 ‘홍성읍 마을지명 유래’ 책자[사진=홍성군]

충남 홍성군 홍성읍은 읍에 속한 12개 법정리 193개 자연마을의 지명유래를 체계적으로 정리한 ‘홍성읍 마을지명 유래’ 책자를 지난주 23일 발간했다.
 
군의 중심지인 홍성읍의 사라져가는 옛 지명과 이야기를 다음 세대에 전하기 위해 발간하게 된 이 책에는 오래전부터 사용하던 홍성읍 자연마을의 이름에 담긴 유래, 풍습, 민담, 전설 등이 알기 쉽게 정리했다.
 
홍주 고을의 옥(獄)이 있었던 자리에 이름 붙인 오관리의 ‘옥골’, 대간 벼슬을 지냈던 사람이 살았던 대교리의 ‘간동’, 고개가 높아 말에서 내려야 넘어가는 고개라고 하여 붙여진 월산리의 ‘하고개’, 그릇을 구워 팔던 그릇점이 있었던 옥암리의 ‘점말’ 등 마을지명에 담겨 있는 역사와 전통을 살펴볼 수 있어 주민들이 삶의 터전에 대한 이해가 더욱 넓어질 것으로 기대한다.
 
홍성읍에서는 주민들이 쉽게 접할 수 있도록 관내 학교, 관계 기관, 마을회관 등 공공장소에 책자를 비치해 우리 마을의 지명 유래를 알릴 계획이다.
 
한광윤 홍성읍장은 “급속한 산업화와 함께 새 도로명 주소 체계가 생겨난 후 우리 선조들이 사용한 아름다운 자연마을의 이름이 사라지는 모습을 보고 안타까움을 느꼈다”라며 “이 책을 통해 지명이 만들어질 당시 우리 선조들의 생활상을 엿보고, 우리 마을만이 가지고 있는 색다른 이야기를 살펴볼 수 있다. 이 책이 지역민들의 애향심을 북돋아 주는 길잡이가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