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 제103주년 3·1절 기념식 참석…'대한 사람 대한으로'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김봉철 기자
입력 2022-03-01 10:02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대한민국임시정부 기념관 개관

  • 민족 자주독립 정신 계승 다짐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달 28일 경북 영천시 육군3사관학교에서 열린 제57기 졸업 및 임관식에서 졸업생도들의 경례에 거수경례로 답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은 1일 서울 서대문 ‘국립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관’에서 거행된 제103주년 3‧1절 기념식에 참석했다.
 
기념관은 독립유공자 및 독립운동 사적지 발굴·보존 강화와 3·1운동 및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맞이해 서울시 서대문구 독립문공원 인근에 건립됐다.
 
문 대통령은 2017년 대선 후보 시절 3·1절을 맞아 논평을 통해 “대한민국 주춧돌을 놓은 것이 임시정부”라며 “대한민국 법통이 임시정부에서 출발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임시정부기념관 건립과 운영은 국가가 나서서 국립으로 하는 게 마땅하다”고 밝힌 바 있다.
 
이번 기념식은 우리 민족 최대의 독립운동인 3·1운동을 계기로 수립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활동과 선열들의 희생을 기억할 수 있는 뜻깊은 장소에서 개최됨으로써 임시정부의 활동과 역사를 민주주의의 출발점으로 기억하고 대한독립을 위한 선열들의 3·1운동 및 임시정부 수립의 고귀한 정신을 계승하자는 의미를 담았다.
 
기념식 주제는 애국가 소절에서 착안한 ‘대한사람 대한으로’다. 일제강점기 선조들의 결연한 의지로 대한민국임시정부를 중심으로 단합하고 독립운동을 전개해 마침내 자랑스러운 대한민국을 탄생시켰듯, 하나 된 ‘대한’의 국민으로 단합하여 새로운 ‘대한’의 미래를 열어가자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기념식은 최근 확산되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응을 위한 방역상황을 고려해 정부 주요 인사, 독립유공자 후손, 광복회 및 종교계 등 50여명의 소규모 인사가 참석한 가운데 △국민의례 △추모의 시간 △독립선언서 낭독 △독립유공자 포상 △대통령 기념사 △기념공연 △3‧1절 노래 제창 △만세삼창의 순서로 진행됐다.
 
먼저 국민의례에 앞서 ‘대한민국 임시정부 그리고 대한민국’을 주제로 제작된 개식 영상을 시청했다. 영상은 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관 내 상징 작품이자 이번 3·1절 기념식장의 무대 배경이기도 한 ‘역사의 파도’를 활용한 미디어 파사드 영상으로, 우리 민족의 독립과 자유를 되찾기 위해 투쟁했던 선열들의 고귀한 독립정신을 기억하고자 하는 의미를 담았다.
 
국민의례로 ‘국기에 대한 경례’는 이번 2022년 베이징(北京) 동계올림픽에서 피겨스케이팅 국가대표로 활약한 차준환 선수가 ‘국기에 대한 맹세문’을 낭송했으며, ‘애국가 제창’과 ‘순국선열과 호국영령에 대한 묵념’이 이어졌다.
 
3·1운동과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등 독립운동을 위해 헌신했던 애국지사분들을 추모하는 시간도 가졌다. 2017년 이후 별세하신 총 51명의 애국지사 사진으로 제작된 영상이 곽다경양의 트럼펫 연주 ‘그대, 잘 가라’를 배경으로 소개되며, 고인이 되신 애국지사분들의 숭고한 희생정신과 넋을 기리며 감사의 마음을 전했다.
 
독립선언서 낭독’에서는 독립운동가 후손과 함께 사회 각 분야에서 한국과 한국문화에 대한 남다른 애정을 갖고 활약 중인 국내·외 교수, 방송인, 배우 등 총 8명이 함께 ‘쉽고 바르게 읽는 3.1 독립선언서’를 우리말, 영어, 프랑스어, 일본어, 중국어, 러시아어, 우리말 수어 등으로 순차 낭독했다.
 
독립선언서 낭독과 함께 세계적인 첼리스트 홍진호씨가 ‘한국행진곡’, ‘대한혼가’, ‘압록강 행진곡’, ‘대니보이’, 아리랑’ 등 대표적인 항일음악을 연주하며 국민 모두가 한마음으로 대한민국의 자주독립을 위해 힘썼던 순국선열들의 숭고한 희생정신과 대한독립의 의지를 기억했다.
 
문 대통령은 올해 제103주년 3‧1절을 맞이해 총 219명의 독립유공자가 정부포상을 받게 된 가운데 이날 기념식에서 애국지사분들의 헌신과 희생에 감사하는 마음을 담아 독립유공자 4명에게 건국훈장·포장과 대통령표창을 수여했다. 또 대한민국 임시정부기념관 개관을 기념 건립 유공자 1명에게도 국민훈장을 전했다.
 
문 대통령의 기념사에 이어 2017년 이후 현 정부에서 진행된 3·1절 기념식과 광복절 경축식 장면들, 그리고 2021년 8월 15일 거행된 ‘홍범도 장군 유해 봉환식’ 행사의 모습을 담은 영상을 시청했다.
 
그러면서 역경과 고난을 이겨낸 선열들의 정신을 기억하고 그 뜻을 이어 국민과 함께 우리가 만들고 싶은 나라, 아무도 흔들 수 없는 나라를 만들고자 다짐하는 시간을 가졌다.
 
기념공연에서는 가수 신유미씨와 매드클라운, 헤리티지 합창단이 3·1운동과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등 당시의 독립을 향한 선조들의 결의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하여 풀어낸 곡 ‘대한이 살았다’를 열창했으며, 전체 참석자와 함께 3·1절 노래를 제창했다.
 
마지막 순서인 ‘만세삼창’은 해외의 독립운동가 후손과 2019년 3·1절 기념식 및 광복절 경축식에 참석해 만세삼창을 선창했고, 현재는 고인이 된 애국지사 2명의 당시 선창 영상으로 진행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1개의 댓글
0 / 300
  • ♥3,1독립정신(獨立精神) 진심(眞心)으로 기리며-, 내 민족이 당한 참담(慘憺)한 식민지(植民地) 신세-,
    제국주의(帝國主義)에 빌미를 준 부족(部族)질 참회(懺悔)가 먼저요-, 적개심(敵愾心)은 다음입니다.
    植民地 下 천혜(天惠)의 교육열(敎育熱)로 世界 10大 부국(富國)을 이룬 유일(唯一)한 내 나라를-,
    전과자(前科者)들이 무법천지(無法天地) 도적(盜賊)질로 연장(延長)코져 광분(狂奔)하고 있습니다.
    이를 심판(審判)하는 3,9 대선(大選)-, 愛國心의 응집(凝集)을 간절히 염원(念願)합니다.
    Make Korea Great

    공감/비공감
    공감:0
    비공감: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