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美 제재 걱정하랴···中 지도부 눈치 보랴
최근 중국 최대 차량공유기업인 디디추싱이 대표적이다. 지난달 21일 러시아에서 사업을 중단한다고 선언한 지 나흘 만인 25일 이를 번복해 러시아에서 계속 사업을 유지하겠다고 밝혔다.
입장을 번복한 배경을 놓고, 일각에서는 러시아 제재를 반대하는 중국 정부의 입장을 반영한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중국 최대 PC업체인 레노버는 최근 중국 내 여론의 십자포화를 맞았다. 레노버가 인텔, 델과 함께 러시아에 대한 수출 중단에 동참한다는 외신의 보도가 나오면서 중국 기업이 왜 미국 기업과 함께 제재 행렬에 동참하냐는 비난 여론이 들끓은 것이다.
디디추싱과 레노버의 사례는 서방국의 대러 제재와 중국 정부의 러시아 지원 사이에서 딜레마에 빠진 중국기업의 현실을 반영한다. 중국 내수시장 사업 비중이 큰 두 기업 모두 중국 국내 여론이나 지도부의 눈치를 볼 수밖에 없는 처지다.
최근 미국 등 서방국의 러시아 제재 수위가 높아지면서 러시아에 진출한 글로벌 기업들이 속속 탈(脫) 러시아를 선언하며 제재에 동참하고 있는 반면, 중국 기업만 러시아와의 거래를 이어가고 있는 것이다.
◆미국산 부품 의존에···대러제재 불확실성↑
그동안 중국 기업들은 성장 잠재력이 큰 러시아 시장에 대거 진출해왔다. 현재 중국은 러시아 최대 전자제품 수출국이며, 러시아 반도체 수입의 3분의1, PC·스마트폰 수입의 절반 이상이 중국산이다.
중국 최대 통신장비업체 화웨이는 1990년대 초반 이미 러시아에 네트워크 통신장비를 공급하며 장기간 협력해왔다. 러시아 최대 이동통신사 MTS와 5G 서비스 계약도 체결했고, 러시아 현지에 연구개발(R&D) 센터도 운영하고 있다.
중국 또 다른 스마트폰 기업 샤오미도 2016년 러시아에 진출해 현지 스마트폰을 주름잡고 있다. 시장조사업체 IDC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샤오미의 러시아 시장 점유율은 26%로 삼성전자에 이은 2위를 차지했다. 이밖에 오포, 비보 등 다른 중국 스마트폰 기업도 러시아에 진출해 있다.
하지만 러시아에 대한 제재 조처를 무시하고 러시아와 거래를 지속할 경우 중국 기업도 엄청난 벌금과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심지어 직접적인 제재도 받을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미국은 최근 러시아에 대한 반도체, 컴퓨터, 통신 보안 등 첨단기술 제품의 수출을 통제하는 조처를 발표했다. 여기엔 미국산 기술이 사용된 미국 이외 다른 나라에서 생산한 제품도 미국의 사전 허가를 받도록 했다.
현재 샤오미나 레노버 등 중국기업의 미국산 기술·부품에 의존도는 높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샤오미는 미국기업인 퀄컴, 코보, 스카이워크솔루션 등의 칩에 의존하고 있다. 레노버 PC에도 미국 AMD, 인텔의 프로세서가 탑재된다.
홍콩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대러 제재는 중국기업에 새로운 불확실성을 안길 것"이라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