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 당선인, 미국을 중심에 놓는 외교할 것"
미국 외신들은 윤 당선인이 중국보다 미국을 중요시하는 외교정책을 펼치며 문재인 대통령 정권과는 완전히 다른 외교노선을 걸을 것으로 내다봤다. 대부분의 미국 언론은 윤 당선인이 미국과의 관계에 중점을 둘 것이라고 전망했다. WSJ는 윤 당선인이 선거 전 서면으로 진행된 인터뷰에서 "자유주의적 국제질서를 훼손하는 자들이 반드시 그에 상응하는 대가를 치르도록 함으로써 미국과 함께 역사의 올바른 편에 설 것”이라고 말했다고 전했다. 이어 윤 당선인은 사이버 보안, 글로벌 공급망, 우주 산업 등의 분야에 있어 미국과 더 깊은 관계를 맺고자 하며, 중국의 지역적 영향력에 대응하기 위한 미국·일본·호주·인도 4개국 간 협의체인 쿼드(Quad)와도 협력하고자 하는 의지를 보였다고 설명했다.
NYT 역시 윤 당선인이 북한과 중국에 대한 이전 정부의 외교정책을 맹렬히 비판해 온 만큼 외교정책에 변화가 클 것으로 보았다. 앞서 문재인 대통령이 한국의 가장 중요한 동맹국인 미국과, 최대 교역 파트너인 중국 간 균형을 유지하며 이른바 '전략적 모호성'이라고 불리는 접근 방식을 택해 왔지만, 윤 당선인은 '전략적 확실성'을 통해 미국을 지지할 것이라는 설명이다. 윤 당선인은 앞서 미국과 중국 간 경쟁을 자유주의와 권위주의의 대결이라고 부르며 공개적으로 미국을 지지해 왔다.
◆ "대북 정책 강경론에 힘 실린다"
한편, 외신들은 윤 당선인이 북한에 대해서는 강경한 정책으로 일관할 것으로 전망했다. WSJ는 윤 당선인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무조건적인 만남은 진행하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한 것에 주목했다. 또한, 북한의 핵 공격이 임박한 경우에는 한국이 선제공격할 수 있다고 언급하기도 했다는 점을 들어 대북 정책이 강경 노선에 힘이 실릴 것이라고 보았다.
WP 역시 윤 당선인이 대북정책에 있어 강경 노선을 택하며 미국의 비핵화 목표에 동조할 것으로 전망했다. WP는 "윤 당선인이 북한이 핵무기를 포기하도록 압박하기 위해 국제 제재가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다며, 미국의 비핵화 목표에 동조하는 강경론을 내고 있다"고 밝혔다. 김정은 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협상을 이끌어냈던 문 대통령의 중재자적 모습과는 다를 것이라는 설명이다.
NYT 역시 윤 당선인은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가 이루어지기 전까지 미국 제재가 유지되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며, 이는 미국과 유사한 의견이라고 설명했다. NYT는 이병철 경남대 극동연구소 북한 전문가를 인용하며, 최소한 윤 당선인 임기 초반에는 북한과 강대강 대치 상황으로 돌아갈 수 있다고 내다봤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두 후보 모두 북한과 핵무기의 위협에 대해 명확한 전략을 제시하지 않았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나왔다고 ABC는 지적하기도 했다.
윤석열 당선인의 가장 큰 과제로는 국가 통합이 지목됐다. 윤 당선인은 0.73%포인트, 3400만표 가운데 약 24만7100표 차이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를 이기며, 역대 가장 낮은 득표차로 승리했다. 미국 워싱턴에 위치한 싱크탱크인 퀸시연구소 내 책임있는국정운영연구소(QIRS)의 제시카 리 한국 전문가는 "대통령 선거에서 여론이 분열된 이후, 윤 당선인은 분열된 국가를 물려받았다"고 WSJ에 밝혔다. 로이터는 레이프-에릭 이즐리 이화여대 교수의 발언을 인용해 여론이 분열된 가운데, 보복 정치 대신 개혁 정치를 이끌어나가기가 어려울 수 있다고 짚기도 했다.
한펴, 윤 당선인은 당장 코로나19 방역, 경제 성장 둔화, 주택 가격 급등, 소득 불평등 증가 등 만만치 않은 도전을 마주하게 됐다고 외신들은 입을 모았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