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를 해결하려면 대안 정보(비금융 정보)의 활용성을 높여야 한다는 내용도 다뤘다. 실제로 빅테크(대형기술) 업체를 중심으로 한 다수의 금융사들이 전통적 금융정보 외에 다양한 대안 정보를 심사에 반영하고 있다. 카카오뱅크의 경우 △카카오택시 사용 이력 △휴대폰 데이터 사용량 △통신비 납부 개월 등을 활용해 새로운 정보를 만들어낸다. 케이뱅크는 개인사업자 업종의 계절별 특성, 주변 상권 현황 등을 분석해 대출 유무를 결정한다.
하지만 이러한 기사를 작성하다 보니 문득 의문이 들었다. 과연 이러한 기준이 전 국민 중 25%가량을 차지하는 금융 이력 부족자에게도 ‘진짜 도움’을 줄 수 있을지에 대한 궁금증이다. 답은 ‘글쎄’였다. 물론 큰 틀에서 긍정 작용할 순 있겠지만, 이들이 정보 부족으로 인해 고금리로 내몰리는 상황을 방어하기에는 명확한 한계가 있다. 실제로 주부, 대학생 등은 충분한 능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보 부족으로 대부업 또는 사금융에 몰리는 경우가 다반사다. 요즘처럼 금융사들이 우량차주 중심으로 고객을 ‘골라 받는’ 상황에선 더욱 그렇다.
이를 해결하려면 어떠한 방안이 필요할까. 우선 금융 취약계층(주부·학생·금융 이력 부족자) 관련 대출 취급을 일정 수준 의무화하고, 저금리로 사용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정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본다. 전체 금융사에 일정 수준의 범위를 제시한 뒤, 그 안에서 중금리대출과 같은 조건으로 취급하도록 의무화하는 식이다. 현재 금융권에선 햇살론과 사잇돌 등 서민대출 상품을 취급 중이지만 이 역시도 소득이 있어야만 취급할 수 있다. 그마저도 금융거래이력자 중심으로 운영하고 있다. 대출한도는 최고 한도제한 추정소득 또는 최소 소득수준 내에서 결정하도록 하는 편이 효율적일 듯하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