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직인수위원회 과학기술교육분과 전문위원인 성동규 중앙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가 ‘미디어 조직 개편’ 선봉장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성 교수는 미디어를 규제 관점이 아닌 진흥의 관점으로 설정하지 못한 점을 줄곧 지적하고 있다. 정치권이 이른바 ‘가짜 뉴스’에 매몰돼 미디어를 미래지향적 산업 분야로 육성하지 못했다는 얘기다.
윤 당선인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방송통신위원회, 문화체육관광부로 흩어진 미디어 기능을 하나로 묶을 ‘디지털미디어혁신부’(가칭) 출범을 공약으로 내세웠다. 미디어혁신부 출범도 성 교수가 이끌 전망이다.
최근 성 교수는 ‘차기 정부의 미디어 정책 개선 방향 모색’ 토론회에서 미디어 플랫폼 콘텐츠 중심의 독임부처가 필요하다는 주장을 펼쳤다. 성 교수는 공영방송을 제외한 미디어 분야를 포괄한 단일화된 거버넌스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성 교수는 공공과 민간을 분리해야 한다고 밝혔다. 민간 영역에선 미디어 독립부처를 설립해 진흥 기능을 강화하고, 공적 영역에선 합의제 기구인 공영미디어위원회(가칭)를 두어야 한다는 것이다.
공영미디어위원회에 지상파·종편에 대한 인허가를 맡기자는 구상이다. 성 교수는 대표적인 ‘규제철폐론’자다. 모든 플랫폼이 인터넷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황에서 규제가 이뤄지면 자칫 국내사업자만 피해를 감수할 수밖에 없다는 주장이다.
통합미디어법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부처별로 미디어법이 혼재돼 실제 사업자의 혼란이 가중되는 만큼 단일 부처에서 통합미디어법을 집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중앙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
△여의도연구원 원장
△한국OTT포럼 회장
△중앙대 신문방송대학원장
△EBS 이사
△MBC 시청자위원회 위원
△KBS 객원해설위원
성 교수는 미디어를 규제 관점이 아닌 진흥의 관점으로 설정하지 못한 점을 줄곧 지적하고 있다. 정치권이 이른바 ‘가짜 뉴스’에 매몰돼 미디어를 미래지향적 산업 분야로 육성하지 못했다는 얘기다.
윤 당선인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방송통신위원회, 문화체육관광부로 흩어진 미디어 기능을 하나로 묶을 ‘디지털미디어혁신부’(가칭) 출범을 공약으로 내세웠다. 미디어혁신부 출범도 성 교수가 이끌 전망이다.
최근 성 교수는 ‘차기 정부의 미디어 정책 개선 방향 모색’ 토론회에서 미디어 플랫폼 콘텐츠 중심의 독임부처가 필요하다는 주장을 펼쳤다. 성 교수는 공영방송을 제외한 미디어 분야를 포괄한 단일화된 거버넌스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공영미디어위원회에 지상파·종편에 대한 인허가를 맡기자는 구상이다. 성 교수는 대표적인 ‘규제철폐론’자다. 모든 플랫폼이 인터넷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황에서 규제가 이뤄지면 자칫 국내사업자만 피해를 감수할 수밖에 없다는 주장이다.
통합미디어법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부처별로 미디어법이 혼재돼 실제 사업자의 혼란이 가중되는 만큼 단일 부처에서 통합미디어법을 집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중앙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
△여의도연구원 원장
△한국OTT포럼 회장
△중앙대 신문방송대학원장
△EBS 이사
△MBC 시청자위원회 위원
△KBS 객원해설위원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