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직인수위원회(인수위) 경제1분과 전문위원에 파견된 권대영 금융위원회 금융정책국장은 재정경제부, 금융위원회 금융정책국에서 금융정책과장, 금융산업국장 등을 거치면서 금융정책 전문성을 인정받았다. 금융정책국은 국내 금융정책과 금융제도를 기획하고 총괄해 금융당국 내에서 엘리트 라인으로 손꼽힌다.
그는 코로나19 확산 이후 치솟은 가계부채를 막기 위해 대출 총량규제, 차주별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등 대출관리에 힘써왔다. 지난해 발표된 ‘10·26 가계부채 관리 강화방안’이 대표적인 성과다. 권 국장은 최근 가계부체 증가세, 자산가격 상승세 등의 금융불균형을 해소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상환능력 중심의 대출, 다중채무자 맞춤 관리, 주택담보대출 분할상환 목표치 상향 같은 가계부채 건전성 제고 방안을 내놓았다.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주요 공약으로 코로나19 피해 자영업자·소상공인에 대한 보상과 가계대출 규제 완화 등을 언급해 권 국장이 정책 설계를 지원할 것으로 전망된다.
권 국장은 2012년 금융위 중소금융과장으로 재직하면서 저축은행 사태를 해결하는 데 앞장섰다. 2018년 금융위 금융혁신기획단 초대 단장을 맡아 핀테크 투자 활성화, 혁신금융서비스(금융규제 샌드박스) 등을 담은 '핀테크 혁신 활성화 방안'을 마련했다.
권 국장은 1968년생으로 고려대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행정고시 38회로 공직에 입문했다. 금융위에서 자산운용과장, 중소금융과장, 은행과장, 금융정책과장을 거쳐 금융산업국장, 금융정책국장에 올랐다. 이명박 정권에선 대통령비서실 국정기획수석실에 파견됐고, 문재인 정부 초기에는 대통령비서실 경제수석실 행정관으로 파견됐다.
그는 코로나19 확산 이후 치솟은 가계부채를 막기 위해 대출 총량규제, 차주별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등 대출관리에 힘써왔다. 지난해 발표된 ‘10·26 가계부채 관리 강화방안’이 대표적인 성과다. 권 국장은 최근 가계부체 증가세, 자산가격 상승세 등의 금융불균형을 해소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상환능력 중심의 대출, 다중채무자 맞춤 관리, 주택담보대출 분할상환 목표치 상향 같은 가계부채 건전성 제고 방안을 내놓았다.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주요 공약으로 코로나19 피해 자영업자·소상공인에 대한 보상과 가계대출 규제 완화 등을 언급해 권 국장이 정책 설계를 지원할 것으로 전망된다.
권 국장은 2012년 금융위 중소금융과장으로 재직하면서 저축은행 사태를 해결하는 데 앞장섰다. 2018년 금융위 금융혁신기획단 초대 단장을 맡아 핀테크 투자 활성화, 혁신금융서비스(금융규제 샌드박스) 등을 담은 '핀테크 혁신 활성화 방안'을 마련했다.
◇ 권대영 국장 주요 이력
△1968년생, 경남 진해
△1994년 행정고시 합격(38회)
△1995년 총무처 수습사무관
△1996년 재정경제원 금융정책실 외화자금과 사무관
△2000년 재정경제부 금융정책국 증권제도과 사무관
△2005년 재정경제부 금융정책국 금융정책과 서기관
△2006년 재정경제부 공적자금관리위원회 사무국 의사총괄과장
△2006년 미국 시카고선물거래소(CME) 파견
△2009년 대통령비서실 국정기획수석실 파견
△2011년 금융위원회 자산운용과장
△2012년 금융위원회 중소금융과장
△2013년 금융위원회 은행과장
△2014년 금융위원회 금융정책과장(서기관)
△2015년 금융위원회 금융정책과장(부이사관)
△2016년 한국금융연구원 파견
△2017년 대통령비서실 경제수석비서관실 파견
△2018년 금융위원회 금융혁신기획단장(고위공무원)
△2020년 금융위원회 금융산업국장
△2021년 금융위원회 금융정책국장(현)
△2022년 제2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경제1분과 전문위원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