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집무실 이전비 360억원 의결…김 총리 "안보공백 없는 이양 협조"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노경조 기자
입력 2022-04-06 11:01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안보필수시설 구축 상황 등 고려해 추가 소요 협의"

서울 용산구 이촌동의 한 아파트에서 바라본 합동참모본부 전경 [사진=유대길 기자]

정부가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추진하는 대통령 집무실 용산 이전 예비비 360억원을 지출하기로 했다.

정부는 6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임시 국무회의를 열고, 집무실 이전 예비비 지출안을 의결했다.

김부겸 국무총리는 모두발언을 통해 "집무실 이전 문제는 찬반을 떠나 차기 정부가 판단할 몫이고, 당선인의 의지가 확실한 이상 시기의 문제이지 진행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며 "안보 공백 없는 순조로는 정부 이양에 협조하는 차원"이라고 말했다.

우선 360억원이 편성됐는데 △행정안전부 소관 176억원 △국방부 소관 118억원 △대통령 경호처 소관 66억원 등이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위기관리센터, 경호종합상황실 등 안보필수시설 구축에 116억원이 투입된다. 집무실 이전 과정에서 안보 공백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최우선 조치다.

국방부 이전 비용 전체 118억원도 예비비에 반영됐다. 국방부 지휘부서와 합동참모본부는 안보필수시설 구축 후 이전을 추진할 예정이지만, 이사비 일괄계약 필요성 등을 고려한 것으로 전해졌다.

사무실 공사비와 전산서비스 시스템 구축 비용 등에는 총 101억원이 쓰인다. 집무실 용산 이전 후 대통령 관저로 사용될 육군참모총장 공관 리모델링 비용 25억원도 배정됐다.

이번에 의결된 예비비는 당초 윤 당선인이 제시했던 비용보다 적다. 윤 당선인은 국방부 청사로의 집무실 이전에 총 496억원이 필요하다고 밝힌 바 있다. 국방부의 합참 건물 이전에 118억원, 국방부 청사 리모델링에 252억원, 경호처 이사 99억여원, 공관 리모델링 25억원 등이 소요될 것으로 봤다.

그러나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 등 안보 공백 우려가 부상하면서 일부 조정됐다. 정부와 윤 당선인 측은 위기관리센터 등 안보필수시설 구축 상황과 4월 말로 예정된 한미연합지휘소 훈련 종료시점 등을 감안해 대통령 집무실 조성, 경호처 이전 등 추가 소요를 추후 협의하기로 했다.

김 총리는 "국방부 등 관계부처는 안보 공백이 없도록 대통령직인수위원회와 적극적으로 협력해 달라"며 "새 대통령께서 임시로 통의동 집무실을 사용하며 임기를 시작하겠다는 의지가 분명한 만큼 대통령 경호와 안전에는 한치의 소홀함도 없도록 만전을 기해 주시기 바란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