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테크 기업인 카카오가 보험업 진출을 위한 모든 관문을 통과했다. 카카오페이는 지난 13일 금융위원회로부터 디지털손해보험사인 (가칭)카카오페이손해보험 본인가를 획득했다. 카카오페이는 서비스 준비기간 등을 거쳐 이르면 오는 3분기 중 영업을 개시할 예정이다.
보험업계는 벌써부터 빅테크기업인 카카오의 보험업 진출이 시장에 미칠 파장에 예의주시하고 있다. 강력한 메신저 플랫폼 카카오톡과 카카오페이 가입자 3750만명을 활용해 생활밀착형 보험서비스를 선보일 경우 단숨에 업계 상위권으로의 도약이 가능할 수 있다는 위기감도 팽배하다. 앞서 네이버와 토스 등 빅테크 기업이 보험중개서비스를 운영한 적은 있지만, 빅테크 기업이 직접 보험사를 운영하는 것은 카카오가 처음이기 때문이다. 과거 보험사 입장에서는 빅테크 기업은 영업채널 확충을 위해 이들 빅테크 기업의 플랫폼을 활용하는 등 협력적 관계였다면, 앞으로는 경쟁관계로 변모한 셈이다.
금융당국은 카카오페이손보가 기존 보험시장에서 '메기' 효과를 불러일으킬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다. 한 경제신문이 펴내는 경제용어사전에서 메기 효과를 이렇게 정의한다. "메기 한 마리를 미꾸라지 어항에 집어넣으면 미꾸라지들이 메기를 피해 다니느라 생기를 얻고, 미꾸라지를 장거리 운송할 때 수족관에 메기를 넣으면 미꾸라지가 죽지 않는다." 즉 기존 영업시장에 강력한 경쟁상대를 투입시켜 관련 시장의 성장에 기여한다는 뜻이다.
실제 보험업계에서는 카카오페이손보가 주력할 예정인 생활밀착형 단기소액(미니)보험 출시 열풍이 이어지고 있다. 삼성생명·화재·카드·증권 등 삼성금융 4개 계열사는 통합 플랫폼 모니모를 출범하고, 첫 전용상품으로 혈액형별 보장보험과 저축성보험 관련 미니보험을 출시했다.
이 밖에도 캐롯손해보험은 공동주택 층간소음 분쟁에 대비할 수 있는 '캐롯 층간소음 이사보험'을, 삼성화재는 타인 소유 자가용 승용차 또는 렌터카 운전 시 위험을 보장하는 '원데이 애니카자동차보험'을 출시했다. 모두 기존 보험업계에서는 수익성이 없다며 외면했던 상품들이다.
다만, 우려도 있다. 카카오페이손보와 같이 비대면 채널 중심의 판매를 영업전략으로 세운 신규 디지털 보험업체들이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빅테크 기업 토스는 지난 2018년 11월 자회사 법인대리점(GA) 토스인슈어런스를 출범시켰다. 당시 토스인슈어런스는 업계 최초로 정규직 설계사를 고용해 비대면 영업에 주력하겠다고 선언했다. 그러나 지난 2월 대면 영업을 위한 위촉직 설계사를 채용하며 정규직 설계사 시스템을 폐지, 대면 영업에 집중하기로 했다. 대면 영업 중심으로 성장하는 보험시장의 한계에 부딪히며 불가피하게 전략을 수정한 것이다.
여기에 비대면 채널의 경우 종신보험과 장기인보험 등 복잡한 보험상품 판매가 어렵다. 결국 비대면 채널에서는 소액 단기 상품에 그쳐 사실상 보험사의 수익성에는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자칫 비대면 채널에서 종신보험과 장기인보험을 판매할 경우 민원 급증과 소비자피해 양산이라는 부작용도 우려된다.
이미 닻은 올랐다. 카카오가 '메기'로 국내 보험시장에 활력을 불어넣을지, 아니면 보험시장을 혼탁하게 만드는 '미꾸라지'가 될지 지켜볼 필요가 있다.
보험업계는 벌써부터 빅테크기업인 카카오의 보험업 진출이 시장에 미칠 파장에 예의주시하고 있다. 강력한 메신저 플랫폼 카카오톡과 카카오페이 가입자 3750만명을 활용해 생활밀착형 보험서비스를 선보일 경우 단숨에 업계 상위권으로의 도약이 가능할 수 있다는 위기감도 팽배하다. 앞서 네이버와 토스 등 빅테크 기업이 보험중개서비스를 운영한 적은 있지만, 빅테크 기업이 직접 보험사를 운영하는 것은 카카오가 처음이기 때문이다. 과거 보험사 입장에서는 빅테크 기업은 영업채널 확충을 위해 이들 빅테크 기업의 플랫폼을 활용하는 등 협력적 관계였다면, 앞으로는 경쟁관계로 변모한 셈이다.
금융당국은 카카오페이손보가 기존 보험시장에서 '메기' 효과를 불러일으킬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다. 한 경제신문이 펴내는 경제용어사전에서 메기 효과를 이렇게 정의한다. "메기 한 마리를 미꾸라지 어항에 집어넣으면 미꾸라지들이 메기를 피해 다니느라 생기를 얻고, 미꾸라지를 장거리 운송할 때 수족관에 메기를 넣으면 미꾸라지가 죽지 않는다." 즉 기존 영업시장에 강력한 경쟁상대를 투입시켜 관련 시장의 성장에 기여한다는 뜻이다.
실제 보험업계에서는 카카오페이손보가 주력할 예정인 생활밀착형 단기소액(미니)보험 출시 열풍이 이어지고 있다. 삼성생명·화재·카드·증권 등 삼성금융 4개 계열사는 통합 플랫폼 모니모를 출범하고, 첫 전용상품으로 혈액형별 보장보험과 저축성보험 관련 미니보험을 출시했다.
다만, 우려도 있다. 카카오페이손보와 같이 비대면 채널 중심의 판매를 영업전략으로 세운 신규 디지털 보험업체들이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빅테크 기업 토스는 지난 2018년 11월 자회사 법인대리점(GA) 토스인슈어런스를 출범시켰다. 당시 토스인슈어런스는 업계 최초로 정규직 설계사를 고용해 비대면 영업에 주력하겠다고 선언했다. 그러나 지난 2월 대면 영업을 위한 위촉직 설계사를 채용하며 정규직 설계사 시스템을 폐지, 대면 영업에 집중하기로 했다. 대면 영업 중심으로 성장하는 보험시장의 한계에 부딪히며 불가피하게 전략을 수정한 것이다.
여기에 비대면 채널의 경우 종신보험과 장기인보험 등 복잡한 보험상품 판매가 어렵다. 결국 비대면 채널에서는 소액 단기 상품에 그쳐 사실상 보험사의 수익성에는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자칫 비대면 채널에서 종신보험과 장기인보험을 판매할 경우 민원 급증과 소비자피해 양산이라는 부작용도 우려된다.
이미 닻은 올랐다. 카카오가 '메기'로 국내 보험시장에 활력을 불어넣을지, 아니면 보험시장을 혼탁하게 만드는 '미꾸라지'가 될지 지켜볼 필요가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