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2/04/19/20220419171105859634.jpg)
케이메디허브가 글로벌 임상을 위한 임상시험용 의약품의 제조를 지원하기로 했으며, 케이메디허브 의약생산센터의 의약품 제조 현장이다. [사진=케이메디허브]
이는 케이메디허브에서 의약품의 위탁 생산 및 품질시험을 지원하는 공공기관으로 의약생산센터를 두고 있으며, 의약생산센터는 대구지역기업인 브이에스팜텍의 항암 치료를 위한 방사선 민감제 ‘VS101’ 개발을 위해 제제 개발, 의약품 생산, 품질관리부터 미국 임상2상을 위한 임상 계획승인(IND) 자료까지 전주기 지원을 시행한다.
이에 바이오 벤처기업인 브이에스팜텍의 방사선 민감제 ‘VS101’은 2020년부터 케이메디허브로부터 제제 개발을 지원받아 2021년 9월 국내에서는 최초로 방사선 민감제로 임상 1상 승인을 획득한 바 있다.
또한 국내 제약기업의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보건복지부 사업인 2022년 제약산업 전주기 글로벌 진출 강화 지원사업에 브이에스팜텍의 위탁생산기관으로도 최종 선정되어 해외 임상(미국)을 위한 임상 시료 생산과 전주기 맞춤형 글로벌 진출을 지원하게 되었다.
또한 케이메디허브는 공공의약품, 국가필수의약품, 희귀의약품 등 사회적 이슈거나 공적으로 긴급히 필요한 의약품에 대해서는 적극적으로 지원할 방침이다.
양진영 케이메디허브 이사장은 “재단 설립 취지에 부합된 원스탑 지원으로 글로벌 시장 진입의 초석이 되어 뜻깊다”라며, “앞으로도 국내 벤처 기업들의 글로벌 진출 의약품에 대해서는 국내 제약산업 발전을 위해 공공기관으로서 적극적으로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2/04/19/20220419171222340810.jpg)
케이메디허브에서 기존 항암제의 약점으로 알려진 재발과 전이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항암제 연구를 진행할 케이메디허브 신약개발지원센터. [사진=케이메디허브]
이는 케이메디허브는 2022년 신약 개발 기반기술구축사업 최적화 기술지원 분야 신규 과제에 선정된 파이메드바이오와 함께 항암제 공동연구를 수행하기로 협의를 하였다.
이에 케이메디허브는 화합물 최적화와 독성, 안전성 평가 등을 지원하고, 파이메드바이오는 분자설계, 약리‧약효 평가 등의 업무를 수행하며, 암줄기세포성 억제 항암제 및 차세대 면역항암제 신약후보물질 발굴 파이프라인을 연구하고 있다.
케이메디허브는 매년 신약 개발 최적화 기술지원 사업을 통해 국내 중소·벤처의 사장 위험이 큰 유망한 신약 개발 기초 연구성과물을 포괄적으로 연구 공백 지원하고 있으며, 기술지원사업을 통해 개발된 다수의 치료제는 기업의 성장과 함께할 수 있는 우수한 파이프라인으로 시장 진입을 목표로 하고 있다.
양진영 케이메디허브 이사장은 “항암제 시장은 여전히 수요가 높은 시장으로 양 기관의 협력을 통해 신규 기전의 항암제 파이프라인 탄생이 기대된다”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