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 서울시와 정비업계에 따르면 둔촌주공 조합과 시공사업단(현대건설·HDC현대산업개발·대우건설·롯데건설), 서울시 등 3자는 둔촌주공 사태 해결을 위한 협상을 이달 내에 개최하기로 합의하고 일정을 조율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시 관계자는 "조합과 시공단 간 견해 차이가 워낙 커서 상대방 생각을 들어보는 자리를 마련하는 것"이라면서 "결렬된 것이 아니고, 시기와 방식, 합의안 등에 대해 조율하다 보니 시기가 늦춰지고 있는 것"이라고 했다.
업계에서는 양측이 쉽사리 합의를 도출하지 못할 것으로 보고 있다. 공사비 증액 말고도 협력업체에 대한 이견, 공기 연장에 따른 피해 보상, 소송 등 양측 간 갈등 과제가 산적해 있기 때문이다. 특히 조합과 시공사업단은 서로에 대해 '신뢰할 수 없다'는 격앙된 반응을 보이고 있다.
현재 시공사업단은 △조합이 2020년 체결한 공사비 증액계약 인정 △시공사업단 고유의 업무영역 침범 금지 △공기 연장에 대한 합의 △소송취하 등에 대한 협조 없이는 절대 공사에 복귀할 수 없다고 밝혔다.
업무영역 침범과 관련해선 양측 주장에 차이가 크다. 조합은 "특화·마감재 등 단지 고급화를 위한 작업인 만큼 시공사업단이 조합 측 요구를 적극 수용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반면 시공사업단은 조합이 특정 업체를 꽂기 위해 시공사 고유의 업무영역을 침범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시공사업단 관계자는 "특정 업체를 꽂기 위해 시공단과 갈등을 조장하고, 공기를 의도적으로 지연시키는 것은 아닌지 의심된다"면서 "우리도 이미 수많은 자체 협력업체와 계약을 끝낸 상황이기 때문에 계약을 뒤집고 조합 측 요구를 무작정 받아들이기는 어렵다"고 설명했다. 공사기간도 조합은 42개월을 요구하고 있지만 시공사업단은 51개월을 요구하고 있어 양측 간 차이가 크다.
이런 가운데 둔촌주공 '입주자예정모임'이라고 불리는 비상대책위원회(이하 비대위)도 발족했다. 비대위 관계자는 "둔촌주공 현 조합이 마감재 항목에 특정 업체명을 적시하며 이권 개입을 하고 있는 의혹이 포착됐다"면서 "공사중단 사태를 초래한 현 조합 집행부와 자문위원을 더 이상 신뢰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들은 현 조합 집행부 해임을 위해 이달부터 해임총회 발의서를 조합원들에게 받을 예정이라고 말했다.
서울시와 국토부는 사태를 관망하지 않겠다는 방침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둔촌주공은 조합과 시공사업단 간 사적 분쟁만이 아니라 서울 주택공급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사업장"이라면서 "이달 안에는 중재 자리를 마련해 반드시 원만한 합의점을 도출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