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S그룹이 허태수 회장 취임 이후 공격적인 투자를 이어간 결과 3년간 소속 회사를 26개나 늘린 것으로 나타났다. 투자 기업은 3배 넘게 증가했다.
GS그룹이 국내외에서 집중적으로 투자하는 분야는 전기차 충전기, 인공지능(AI), 핀테크 플랫폼이며 정유·건설 중심이던 그룹 구조를 변화시키는 데 목적을 둔 것으로 해석된다.
10일 공정거래위원회에 따르면 2019년 11월 67개였던 GS그룹 소속 회사는 이달 1일 기준 93개로 26개 증가했다.
GS그룹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관계 기업 투자 건수는 2019년 23건에서 지난해 73건으로 3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투자 금액은 4조5066억원에서 7조378억원으로 56.96% 늘었다.
이 같은 변화는 2019년 12월 허 회장이 지주사 ㈜GS 회장으로 취임한 후 뛰어난 기술을 가진 벤처·스타트업에 대한 투자를 강화해 온 결과다.
지난해 진행한 주요 투자를 보면 GS는 자회사 GS에너지와 전기차 충전 서비스 기업 지엔텔 간 합작법인 ‘지커넥트’에 113억7900만원을 투자했다. 또 커머스 영역에 특화된 AI 플랫폼 기술을 가진 기업인 ‘버즈니’에도 17억7500만원을 투자했으며, 위치 데이터 분석 플랫폼 기업인 ‘제로웹’에도 6300만원을 투자했다. 심지어 모바일게임 개발 회사인 ‘지앤씨인터랙티브’ 지분을 확보하기도 했다.
해외 투자도 한창이다. 허 회장은 2020년 8월 미국 실리콘밸리 스타트업에 투자하기 위해 투자법인 'GS퓨처스'를 설립했다. GS퓨처스는 지난해 8월부터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해 미국 내에서 △배터리 제어 솔루션 기업 ‘릴렉트리파이(Relectrify)’ △에너지 빅데이터 분석 기업 ‘오토그리드(Autogrid)’ △재생에너지 변환기 개발 기업 ‘리질리언트 파워 시스템(Resilient Power Systems)’ △초음파 기반 배터리 관리 솔루션 기업 ‘타이탄 어드밴스트 에너지 솔루션(Titan Advanced Energy Solutions)’ 등 전기차 배터리 솔루션과 에너지 관련 스타트업 집중 투자했다.
올해는 핀테크 기업인 ‘카사(CASA)’와 AI 플랫폼 개발 기업 ‘아이파이(AIFI)’에 대한 투자를 진행했다. 거의 모든 투자는 펀드 참여 형태로 진행됐으며, 투자 금액은 공개하지 않았다. 전체적으로 그룹이 국내 벤처·스타트업에 대한 투자 방향을 결정하면 GS퓨처스가 미국에서도 같은 방향성을 갖고 투자기업을 물색하는 모양새다.
재계에서는 GS그룹의 이 같은 행보가 허 회장이 공격적 경영에 따른 성과로 보고 있다. GS는 그룹 매출 대부분이 지분법상 정유사업에 의존하고 있으며, 주력 계열사인 GS건설은 그룹과 지분 관계가 없어 상징적인 회사에 불과하다. 즉 그룹 존폐가 정유사업에 달렸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최근 국내 대기업들이 신사업 진출에 한창인 가운데 허 회장은 정유 중심인 그룹 구조에서 탈피해 플랫폼 중심으로 그룹을 재구성하려는 의도로 해석된다. 2019년 이후 다른 대기업들이 앞다퉈 수조 원대 신사업 투자계획을 발표한 것과 달리 허 회장은 상대적으로 조용했는데, 실상은 투자 기업만 3배 이상을 늘리면서 미래 사업 준비에 한창이었다.
재계 관계자는 “향후 GS그룹 계열사들이 가족별로 독립한다 해도 그룹이 지속 가능 경영을 이어가야 한다는 측면에서 허 회장의 투자 판단은 탁월했다”며 “기업은 미래 사업을 발굴하고, 중소 벤처·스타트업 시장도 활성화된다는 측면에서 동반 상승 효과가 클 것”이라고 말했다.
GS그룹이 국내외에서 집중적으로 투자하는 분야는 전기차 충전기, 인공지능(AI), 핀테크 플랫폼이며 정유·건설 중심이던 그룹 구조를 변화시키는 데 목적을 둔 것으로 해석된다.
10일 공정거래위원회에 따르면 2019년 11월 67개였던 GS그룹 소속 회사는 이달 1일 기준 93개로 26개 증가했다.
GS그룹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관계 기업 투자 건수는 2019년 23건에서 지난해 73건으로 3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투자 금액은 4조5066억원에서 7조378억원으로 56.96% 늘었다.
지난해 진행한 주요 투자를 보면 GS는 자회사 GS에너지와 전기차 충전 서비스 기업 지엔텔 간 합작법인 ‘지커넥트’에 113억7900만원을 투자했다. 또 커머스 영역에 특화된 AI 플랫폼 기술을 가진 기업인 ‘버즈니’에도 17억7500만원을 투자했으며, 위치 데이터 분석 플랫폼 기업인 ‘제로웹’에도 6300만원을 투자했다. 심지어 모바일게임 개발 회사인 ‘지앤씨인터랙티브’ 지분을 확보하기도 했다.
해외 투자도 한창이다. 허 회장은 2020년 8월 미국 실리콘밸리 스타트업에 투자하기 위해 투자법인 'GS퓨처스'를 설립했다. GS퓨처스는 지난해 8월부터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해 미국 내에서 △배터리 제어 솔루션 기업 ‘릴렉트리파이(Relectrify)’ △에너지 빅데이터 분석 기업 ‘오토그리드(Autogrid)’ △재생에너지 변환기 개발 기업 ‘리질리언트 파워 시스템(Resilient Power Systems)’ △초음파 기반 배터리 관리 솔루션 기업 ‘타이탄 어드밴스트 에너지 솔루션(Titan Advanced Energy Solutions)’ 등 전기차 배터리 솔루션과 에너지 관련 스타트업 집중 투자했다.
올해는 핀테크 기업인 ‘카사(CASA)’와 AI 플랫폼 개발 기업 ‘아이파이(AIFI)’에 대한 투자를 진행했다. 거의 모든 투자는 펀드 참여 형태로 진행됐으며, 투자 금액은 공개하지 않았다. 전체적으로 그룹이 국내 벤처·스타트업에 대한 투자 방향을 결정하면 GS퓨처스가 미국에서도 같은 방향성을 갖고 투자기업을 물색하는 모양새다.
재계에서는 GS그룹의 이 같은 행보가 허 회장이 공격적 경영에 따른 성과로 보고 있다. GS는 그룹 매출 대부분이 지분법상 정유사업에 의존하고 있으며, 주력 계열사인 GS건설은 그룹과 지분 관계가 없어 상징적인 회사에 불과하다. 즉 그룹 존폐가 정유사업에 달렸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최근 국내 대기업들이 신사업 진출에 한창인 가운데 허 회장은 정유 중심인 그룹 구조에서 탈피해 플랫폼 중심으로 그룹을 재구성하려는 의도로 해석된다. 2019년 이후 다른 대기업들이 앞다퉈 수조 원대 신사업 투자계획을 발표한 것과 달리 허 회장은 상대적으로 조용했는데, 실상은 투자 기업만 3배 이상을 늘리면서 미래 사업 준비에 한창이었다.
재계 관계자는 “향후 GS그룹 계열사들이 가족별로 독립한다 해도 그룹이 지속 가능 경영을 이어가야 한다는 측면에서 허 회장의 투자 판단은 탁월했다”며 “기업은 미래 사업을 발굴하고, 중소 벤처·스타트업 시장도 활성화된다는 측면에서 동반 상승 효과가 클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