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국내 완성차 업계의 임단협(임금 및 단체협상)이 갈등 양상을 예고하고 있다. 사측은 완성차 시장의 급격한 전기차 전환 흐름에 맞춰 생산 인력 감축을 고민하고 있지만, 노조는 고용 안정을 전면에 내세우고 있다.
11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국내 완성차 4사는 이달부터 임단협에 들어간다. 전날 완성차 맏형격인 현대차는 임단협 상견례를 가졌다. 현대차 노조는 주요 요구안으로 기본급 16만5200원 인상(호봉승급분 제외)을 비롯해 호봉제 개선, 순이익 30% 성과급 지급, 2013년 이후 입사자에 대한 이중임금제 폐지, 신규인원 충원, 정년 연장, 해고자 원직 복직 및 가압류 철회 등을 내세우고 있다. 아직 상견례를 시작하지 않았지만 기아 노조도 비슷한 요구안을 제시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현대차는 최근 SW와 AI(인공지능) 등의 전문 인력 수급에 전사적으로 나서고 있어 임단협을 차순위로 보고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IT 전문 인력은 별도 연봉체계를 제시할 만큼 기존의 전자‧통신‧게임 업계와 인재 쟁탈전에서 밀리지 않겠다는 각오를 다지고 있다.
업계 한 관계자는 “올해 노조 임기를 시작한 안현호 현대차 지부장과 홍진성 기아 지부장이 모두 강성 성향으로 평가받고 있다“며 “아직 상견례에 그쳤지만 노사 모두 올해는 쉽지 않다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미 전기차 수요가 크게 늘어났고 자율주행차 상용화까지 앞둔 만큼, 조만간 대부분의 생산 공정이 자동화로 바뀔 것“이라며 “노조 입장에서는 그전까지 고용 안정 확보가 절실해진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지난 3일 이뤄진 르노코리아차 노사 상견례에서도 미래차가 화두에 올랐다. 르노코리아차 노조는 지난해 고강도 인력 구조조정과 임금 동결 등을 감내했다며 충분한 보상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르노코리아차 본사인 프랑스 르노그룹은 지난해 ‘르놀루션’ 경영전략을 수립하고 전 세계 사업장의 수익성 제고를 우선으로 내세웠다.
노조는 2018년부터 4년 동안 동결된 기본급 인상부터 일시금 500만원 지급, 정기 상여를 현행 기본급 500%에서 600% 인상, 고용안정합의서 작성, 생산라인의 노동강도 완화를 위한 시스템 개편 등을 요구했다. 이에 사측은 미래차 전환을 위한 투자가 시급하다며 노조 요구 수용이 불가하다고 에둘러 표현했다. 지난 3월 새롭게 취임한 스테판 드블레즈 사장은 상견례 자리에서 르노코리아차와 중국 지리차가 협력해 2024년 출시 예정인 신차 프로젝트가 우선이라며 노사 협력을 당부했다.
한국GM은 신임 사장이 선임될 때까지 임단협이 미뤄질 것으로 보인다. 기존 카허 카젬 사장은 6월부터 GM과 중국 상하이차(SAIC) 합작사인 SAIC-GM 총괄 부사장으로 보직을 이동한다. 한국GM은 2014년부터 영업적자를 이어가고 있어 올해 신임 사장 부임이 이뤄지면 미국 본사 차원의 대대적인 변화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재매각 과정이 한창인 쌍용차는 임단협 주기를 3년으로 조정하면서 올해 교섭을 진행하지 않는다.
이호근 대덕대 자동차학과 교수는 “전 세계 자동차 제조사마다 노동생산성을 높이고자 전력투구하는 상황이라 정년 연장과 같은 요구는 사측이 쉽게 받아들이기 힘든 부분”이라며 “미래차 측면에서 IT 인재 확보는 앞으로 더욱 중요해질 것이며, 글로벌 공급망 재편과 자국우선주의 등 시시각각 달라지는 통상환경에서 기존의 임단협 방식에도 변화를 불러올 수 있다”고 말했다.
11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국내 완성차 4사는 이달부터 임단협에 들어간다. 전날 완성차 맏형격인 현대차는 임단협 상견례를 가졌다. 현대차 노조는 주요 요구안으로 기본급 16만5200원 인상(호봉승급분 제외)을 비롯해 호봉제 개선, 순이익 30% 성과급 지급, 2013년 이후 입사자에 대한 이중임금제 폐지, 신규인원 충원, 정년 연장, 해고자 원직 복직 및 가압류 철회 등을 내세우고 있다. 아직 상견례를 시작하지 않았지만 기아 노조도 비슷한 요구안을 제시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현대차는 최근 SW와 AI(인공지능) 등의 전문 인력 수급에 전사적으로 나서고 있어 임단협을 차순위로 보고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IT 전문 인력은 별도 연봉체계를 제시할 만큼 기존의 전자‧통신‧게임 업계와 인재 쟁탈전에서 밀리지 않겠다는 각오를 다지고 있다.
업계 한 관계자는 “올해 노조 임기를 시작한 안현호 현대차 지부장과 홍진성 기아 지부장이 모두 강성 성향으로 평가받고 있다“며 “아직 상견례에 그쳤지만 노사 모두 올해는 쉽지 않다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미 전기차 수요가 크게 늘어났고 자율주행차 상용화까지 앞둔 만큼, 조만간 대부분의 생산 공정이 자동화로 바뀔 것“이라며 “노조 입장에서는 그전까지 고용 안정 확보가 절실해진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노조는 2018년부터 4년 동안 동결된 기본급 인상부터 일시금 500만원 지급, 정기 상여를 현행 기본급 500%에서 600% 인상, 고용안정합의서 작성, 생산라인의 노동강도 완화를 위한 시스템 개편 등을 요구했다. 이에 사측은 미래차 전환을 위한 투자가 시급하다며 노조 요구 수용이 불가하다고 에둘러 표현했다. 지난 3월 새롭게 취임한 스테판 드블레즈 사장은 상견례 자리에서 르노코리아차와 중국 지리차가 협력해 2024년 출시 예정인 신차 프로젝트가 우선이라며 노사 협력을 당부했다.
한국GM은 신임 사장이 선임될 때까지 임단협이 미뤄질 것으로 보인다. 기존 카허 카젬 사장은 6월부터 GM과 중국 상하이차(SAIC) 합작사인 SAIC-GM 총괄 부사장으로 보직을 이동한다. 한국GM은 2014년부터 영업적자를 이어가고 있어 올해 신임 사장 부임이 이뤄지면 미국 본사 차원의 대대적인 변화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재매각 과정이 한창인 쌍용차는 임단협 주기를 3년으로 조정하면서 올해 교섭을 진행하지 않는다.
이호근 대덕대 자동차학과 교수는 “전 세계 자동차 제조사마다 노동생산성을 높이고자 전력투구하는 상황이라 정년 연장과 같은 요구는 사측이 쉽게 받아들이기 힘든 부분”이라며 “미래차 측면에서 IT 인재 확보는 앞으로 더욱 중요해질 것이며, 글로벌 공급망 재편과 자국우선주의 등 시시각각 달라지는 통상환경에서 기존의 임단협 방식에도 변화를 불러올 수 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