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백화점 판매점 화장품 매장 전경. [사진=현대백화점]
15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롯데쇼핑의 올 2분기 영업이익 컨센서스(증권사 전망치 평균)는 619억원에 이른다. 전년 대비 무려 7배나 증가한 수준이다. 매출액은 3조9770억원으로 전년 대비 1.9% 증가할 것으로 추정된다.
실적 호조에 대한 기대감은 신세계와 현대백화점도 마찬가지다. 같은 기간 신세계는 매출 1조7119억원, 영업이익 1158억원으로 각각 22.7%, 20.4% 증가한 성적표를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현대백화점 매출은 13.9% 증가한 9836억원, 영업이익은 11.8% 늘어난 645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추산된다.
이러한 장밋빛 전망은 외부 활동 재개로 인해 지난 2년간 얼어붙었던 소비심리가 폭발할 수 있다는 예상이 반영된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2분기 소비심리는 대면 채널 중심으로 반등할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한 백화점 관계자는 "2분기에도 외부 활동 재개에 따른 소비심리 개선이 예상된다"며 "패션 부문 강세가 이어지면서 전체 매출도 증가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다른 백화점 관계자는 "2분기에는 본격적인 여름 휴가를 앞두고 수영복이나 선글라스, 캐리어 등 여행 관련 상품군 수요도 증가해 전체 매출에 긍정적 영향을 줄 것"이라고 분석했다.
대형마트도 오프라인 매장이 활기를 띠며 기지개를 켜고 있다. 증권업계에서는 이마트 매출이 지난 1분기 3조5618억원에서 2분기 3조6767억원으로 3%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영업이익은 149%로 대폭 신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롯데마트도 국내 할인점 호황으로 매출이 1.3% 늘 것으로 추정된다. 같은 기간 국내 할인점 매장에서 매출이 11.7% 증가하며 전체 매출을 떠받칠 것으로 예상됐다. 한 대형마트 관계자는 "거리두기 해제 이후 시식 서비스를 진행한 카테고리 매출이 증가 추이를 보이고 있다"며 "엔데믹 도래와 함께 오프라인으로 고객이 몰리며 2분기 매출 역시 전반적으로 호조를 보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사진=CJ올리브영]
외식업계도 실적 반등 기대감을 드러냈다. 롯데GRS 관계자는 "5월 연휴 기간(5~8일)에 엔제리너스 매출이 2~3배 증가했다"며 "외부 활동이 늘면서 매장을 이용하는 고객이 늘어나는 등 2분기에 대한 기대감이 높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