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산업 전반에 걸친 공급망까지 장악한 중국의 굴기를 벗어나려면 보다 앞선 첨단 기술력 확보와 연구개발(R&D), 전문 인재 양성 등 정부의 종합적 지원이 시급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중론이다.
특히 배터리·디스플레이·태양광 등 차세대 신성장동력 부문에서는 속도감 있게 대책이 추진돼야 한다는 목소리다. 미·중 패권 경쟁 사이에 낀 우리나라로선 보다 촘촘한 공급망 계획이 이뤄져야 한다는 얘기도 나온다.
특히 배터리·디스플레이·태양광 등 차세대 신성장동력 부문에서는 속도감 있게 대책이 추진돼야 한다는 목소리다. 미·중 패권 경쟁 사이에 낀 우리나라로선 보다 촘촘한 공급망 계획이 이뤄져야 한다는 얘기도 나온다.
“전반적인 정책 재검토 필요···재사용·재활용도 생태계 포함돼야”
박철완 서정대 자동차학과 교수는 배터리 산업에서 R&D, 생태계 등 전반적인 정책을 백지 상태에서 다시 수립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 교수는 “향후 배터리 산업은 전기차·에너지저장장치(ESS) 등이 주축을 이루는 중대형 쪽이 더욱 중심이 될 것”이라며 “사용 후 전지 생태계를 활성화하는 방향으로 정책 재검토가 이뤄져야 한다. 폐전지, 사용 후 전지에 더해 연료전지 전기차의 사용 후 스택 등을 포함해 생태계가 구축돼야 한다”고 조언했다.
박 교수는 법 개정 필요성을 강조하며 일례로 자동차관리법을 꼽았다. 배터리, 연료전지 전기차 등 차대번호를 관리할 때 배터리와 자동차를 별도 관리해야 사용 후 전지, 사용 후 스택 생태계 활성화가 가능해진다는 설명이다.
R&D 측면에서도 각 기업 전략을 인정하는 정책이 뒷받침돼야 한다는 주장이다. 박 교수는 “기초 인력이 턱없이 부족한 기업이 태반이다. 어떤 형태로든 이 부문에 대한 정부 지원이 과감해야 한다”며 “정부가 방향성을 제시하는 시대는 지났다. 기업을 믿고, 기업이 하려는 바를 지원하는 것이 윤석열 대통령의 의지이기도 하다”고 설명했다.
박 교수는 “향후 배터리 산업은 전기차·에너지저장장치(ESS) 등이 주축을 이루는 중대형 쪽이 더욱 중심이 될 것”이라며 “사용 후 전지 생태계를 활성화하는 방향으로 정책 재검토가 이뤄져야 한다. 폐전지, 사용 후 전지에 더해 연료전지 전기차의 사용 후 스택 등을 포함해 생태계가 구축돼야 한다”고 조언했다.
박 교수는 법 개정 필요성을 강조하며 일례로 자동차관리법을 꼽았다. 배터리, 연료전지 전기차 등 차대번호를 관리할 때 배터리와 자동차를 별도 관리해야 사용 후 전지, 사용 후 스택 생태계 활성화가 가능해진다는 설명이다.
R&D 측면에서도 각 기업 전략을 인정하는 정책이 뒷받침돼야 한다는 주장이다. 박 교수는 “기초 인력이 턱없이 부족한 기업이 태반이다. 어떤 형태로든 이 부문에 대한 정부 지원이 과감해야 한다”며 “정부가 방향성을 제시하는 시대는 지났다. 기업을 믿고, 기업이 하려는 바를 지원하는 것이 윤석열 대통령의 의지이기도 하다”고 설명했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2/05/03/20220503171803849019.jpg)
박철완 서정대 자동차학과 교수
“OLED 중심으로 차세대 전환도 이뤄내야”
문대규 순천향대 디스플레이신소재공학과 교수는 “초격차를 유지하려면 지금 경쟁력이 있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분야 기술이 고도화될 수 있도록 R&D 지원이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또 마이크로LED, 나노LED, 퀀텀닷(QD) 기반 디스플레이 등 차세대 디스플레이 생태계에도 지원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국내 기업의 OLED 시장 점유율이 80%를 넘지만 중국이 빠르게 추격하고 있는 만큼 차세대 기술 개발이 중요하다는 이유에서다.
그는 또 “해외로 첨단·차세대 기술과 관련한 인력이 유출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며 “이와 동시에 국내에서 이 분야에 충분한 인력이 공급될 수 있도록 인력 양성 지원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공급망과 관련해서는 “과거 일본과 무역분쟁을 겪으며 소재·부품·장비 산업이 많이 개선됐지만 아직 부실한 부분이 많다”며 “R&D 등 대형 국책 사업 등을 통해 장기적으로 공급망 강화에 힘써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내 기업의 OLED 시장 점유율이 80%를 넘지만 중국이 빠르게 추격하고 있는 만큼 차세대 기술 개발이 중요하다는 이유에서다.
그는 또 “해외로 첨단·차세대 기술과 관련한 인력이 유출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며 “이와 동시에 국내에서 이 분야에 충분한 인력이 공급될 수 있도록 인력 양성 지원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공급망과 관련해서는 “과거 일본과 무역분쟁을 겪으며 소재·부품·장비 산업이 많이 개선됐지만 아직 부실한 부분이 많다”며 “R&D 등 대형 국책 사업 등을 통해 장기적으로 공급망 강화에 힘써야 한다”고 강조했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2/05/03/20220503171953609643.jpg)
문대규 순천향대 디스플레이신소재공학과 교수
“태양광 산업, 중국 독주···연합전선 구축해 대응해야”
강정화 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 선임연구원은 “태양광 산업은 공급망에서 80% 이상을 중국이 점유하고 있다. 특히 웨이퍼는 중국 기업 점유율이 97%에 달한다”며 “중국 독점을 깨려면 글로벌 국가들과 전략적인 협력을 통해 관세 등 각종 세제 혜택을 지원하는 등 산업군을 육성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그는 특히 현재 태양광 산업이 처한 상황에 대해 ‘요소수 사태’보다 심각하다고 진단했다. 자칫하면 전 세계 태양광 산업계가 붕괴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다행히 한국은 전지·모듈 제조기술 역량이 세계적인 수준”이라며 “우리가 가격 경쟁력을 확보한다면 미국·유럽 등에 기술 제공이 가능한 핵심 국가가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특히 현재 태양광 산업이 처한 상황에 대해 ‘요소수 사태’보다 심각하다고 진단했다. 자칫하면 전 세계 태양광 산업계가 붕괴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다행히 한국은 전지·모듈 제조기술 역량이 세계적인 수준”이라며 “우리가 가격 경쟁력을 확보한다면 미국·유럽 등에 기술 제공이 가능한 핵심 국가가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2/05/03/20220503171525162091.jpg)
강정화 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 선임연구원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