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발(發) 경기 위축 우려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글로벌 투자은행(IB)들이 중국 올해 경제성장률을 또다시 하향 조정했다.
18일(현지시간) 미국 경제 매체 CNBC에 따르면 후이산 골드만삭스 중국 수석 이코노미스트가 이끄는 팀이 이날 보고서를 통해 "중국 내 코로나19 봉쇄에 따른 경제 피해를 감안해 올해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4%에 달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불과 한 달 만에 중국 올해 GDP 성장률 전망치를 다시 낮춘 것이다. 앞서 골드만삭스는 올해 초 중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4.8%로 제시했다가 중국 내 코로나19가 재확산하자 지난달 이미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4.8%에서 4.5%로 수정한 바 있다.
골드만삭스는 경제 전망 하향 조정 이유로 주택 착공 및 판매 급감 등 부동산 부진을 지목했다. 여기에 소비자물가가 빠르게 오르는 것도 한 몫했다고 했다. 골드만삭스는 "이같은 전망치는 중국 정부가 부동산 등 경기 부양책을 지원한다는 전제로 한다"고 설명했다.
골드만삭스는 "(중국의) 약한 경제지표는 중국의 성장 목표와 '제로 코로나' 정책 사이의 모순을드러내는 것"이라며 중국의 완전한 경제활동 재개는 2023년 2분기 이전까지는 이뤄지지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골드만삭스 외에도 다른 은행들도 중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줄줄이 낮췄다. 앞서 씨티그룹도 올해 중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5.1%에서 4.2%로 하향조정했고, JP모건도 4.6%에서 4.3%로, 모건스탠리도 4.6%에서 4.2%로 내려 잡았다.
이는 중국 정부가 제시한 경제성장률 목표치인 '5.5% 안팎'과 격차가 크게 벌어진 것이다. 이미 3월 말부터 이어진 중국 코로나 봉쇄 여파가 고스란히 경제 지표에 반영되고 있다. 중국이 제로코로나 정책을 유지함에 따라 지난달 소매판매(-11.1%)와 산업생산(-2.9%)은 코로나19 초기 발발 이래 최악의 수준으로 곤두박질쳤다. 도시 실업률은 6.1%까지 올랐으며, 청년(16~24세) 실업률은 18.2%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시장에선 중국 경제가 단기간 내 회복하기 어렵고, 올해 목표한 성장률 달성은 이미 물 건너갔다는 인식이 팽배하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3연임을 앞두고 중국이 '방역'과 '경제 성장'의 두 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으려다 모두 놓칠 위기에 처했다는 주장도 나온다. 급속한 경기 둔화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인 상하이 봉쇄가 최근 완화 조짐을 보이고 있지만 이미 피해가 큰 만큼 2분기 경제성장률 둔화도 불가피하다는 게 시장의 중론이다.
중국 지도부도 최근 중국 경제의 난항을 인정하기도 했다. 리커창 중국 총리는 18일 윈난성에서 열린 경제업무 좌담회에서 "시 주석의 영도 하에 각 부처들이 경제 안정을 위해 많은 일을 했지만 성과를 내기가 어렵다"고 토로했다.
이어 리 총리는 "특히 4월 들어 중국이 직면한 경기 하방 압력이 커졌다"며 "경제가 하루빨리 정상 궤도로 돌아갈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어려움을 직시하고, 충격에 대응해 거시 정책 조정을 확대해야 하며, 정부 기관들도 가능한 빨리 정책을 시행하고 중앙경제공장회의와 정부업무보고에서 확정한 정책들도 상반기에 완료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18일(현지시간) 미국 경제 매체 CNBC에 따르면 후이산 골드만삭스 중국 수석 이코노미스트가 이끄는 팀이 이날 보고서를 통해 "중국 내 코로나19 봉쇄에 따른 경제 피해를 감안해 올해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4%에 달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불과 한 달 만에 중국 올해 GDP 성장률 전망치를 다시 낮춘 것이다. 앞서 골드만삭스는 올해 초 중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4.8%로 제시했다가 중국 내 코로나19가 재확산하자 지난달 이미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4.8%에서 4.5%로 수정한 바 있다.
골드만삭스는 경제 전망 하향 조정 이유로 주택 착공 및 판매 급감 등 부동산 부진을 지목했다. 여기에 소비자물가가 빠르게 오르는 것도 한 몫했다고 했다. 골드만삭스는 "이같은 전망치는 중국 정부가 부동산 등 경기 부양책을 지원한다는 전제로 한다"고 설명했다.
골드만삭스는 "(중국의) 약한 경제지표는 중국의 성장 목표와 '제로 코로나' 정책 사이의 모순을드러내는 것"이라며 중국의 완전한 경제활동 재개는 2023년 2분기 이전까지는 이뤄지지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이는 중국 정부가 제시한 경제성장률 목표치인 '5.5% 안팎'과 격차가 크게 벌어진 것이다. 이미 3월 말부터 이어진 중국 코로나 봉쇄 여파가 고스란히 경제 지표에 반영되고 있다. 중국이 제로코로나 정책을 유지함에 따라 지난달 소매판매(-11.1%)와 산업생산(-2.9%)은 코로나19 초기 발발 이래 최악의 수준으로 곤두박질쳤다. 도시 실업률은 6.1%까지 올랐으며, 청년(16~24세) 실업률은 18.2%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시장에선 중국 경제가 단기간 내 회복하기 어렵고, 올해 목표한 성장률 달성은 이미 물 건너갔다는 인식이 팽배하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3연임을 앞두고 중국이 '방역'과 '경제 성장'의 두 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으려다 모두 놓칠 위기에 처했다는 주장도 나온다. 급속한 경기 둔화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인 상하이 봉쇄가 최근 완화 조짐을 보이고 있지만 이미 피해가 큰 만큼 2분기 경제성장률 둔화도 불가피하다는 게 시장의 중론이다.
중국 지도부도 최근 중국 경제의 난항을 인정하기도 했다. 리커창 중국 총리는 18일 윈난성에서 열린 경제업무 좌담회에서 "시 주석의 영도 하에 각 부처들이 경제 안정을 위해 많은 일을 했지만 성과를 내기가 어렵다"고 토로했다.
이어 리 총리는 "특히 4월 들어 중국이 직면한 경기 하방 압력이 커졌다"며 "경제가 하루빨리 정상 궤도로 돌아갈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어려움을 직시하고, 충격에 대응해 거시 정책 조정을 확대해야 하며, 정부 기관들도 가능한 빨리 정책을 시행하고 중앙경제공장회의와 정부업무보고에서 확정한 정책들도 상반기에 완료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