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2박 3일 방한 일정의 시작은 20일 삼성전자 평택캠퍼스 방문 및 이재용 부회장 회동이었다. 22일 한국을 떠나기 직전에는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을 만나 미국 조지아주에 약 6조3000억원을 투자하기로 한 것에 감사의 뜻을 밝혔다.
◆"한·미 경제동맹, 강력한 시너지···美퍼주기 아냐"
바이든 대통령이 한국을 대표하는 기업 총수들을 만나 연신 "생큐"라고 고개를 숙인 것은 미국에 투자를 더 유치하기 위한 노력이자, 한·미 관계가 미국 우위의 '군사안보 동맹'에서 상호 협력하는 '기술·경제안보 동맹'으로 업그레이드 된 것과 무관하지 않다.
바이든 대통령은 20일 이 부회장의 안내를 받아 윤석열 대통령과 평택캠퍼스를 방문한 후 자신의 트위터에 잇달아 글을 올려 "가장 중요한 것은 한국과 같은 가치를 공유하는 가까운 파트너와 협력해 필요한 것을 더 많이 공급하고 공급망 복원력을 강화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서로에게 투자하고, 우리의 사업 관계를 더욱 돈독히 하고, 우리 국민들을 더욱 가깝게 만들어야 하는 순간"이라고 말했다. 이러한 발언의 배경에는 코로나19 사태로 기존 글로벌 공급망의 취약점이 드러났고, 러시아와 중국 등의 식량·에너지‧자원 무기화 시도로 공급망 불안정성이 심화됐다는 판단이 있다.
결국 민주주의와 인권 가치 등을 공유하는 '믿을 수 있는 국가'와 협력해 우위를 확보해야 가치를 공유하지 않는 국가들에 안보를 위협받지 않고 공동 번영을 증진할 수 있다는 논리다. 여기에는 정파가 따로 없다.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도 지난 2019년 평택캠퍼스를 상공에서 시찰하고 "저걸 미국에 지었어야 했는데"라며 아쉬움을 나타냈다.
우리나라가 대미 투자를 늘리는 것 역시 같은 이유다. 대통령실 핵심 관계자는 반도체 분야에서 미국의 설계·장비 능력과 우리의 생산 역량이 결합되면 매우 강한 시너지 효과를 만들 수 있다면서 "그런 측면에서 미국에 우리가 투자하는 것이 미국에 퍼주는 것 아니냐는 오해를 가지면 안 된다"고 강조했다.
글로벌 반도체 패권 경쟁에서 강력한 동맹 관계를 구축한 한·미 양국은 경제안보 현안 논의를 위한 상설 대화 채널인 '경제안보대화'도 구축했다. 상설 채널 구축을 통해 반도체를 비롯한 미래 국가안보 자산 논의에 속도를 내겠다는 뜻이다. 이에 따라 반도체뿐 아니라, 배터리와 원전 등에서도 한·미 양국은 밀착 행보를 보이며 글로벌 공급망 재편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한·미 경제동맹, 강력한 시너지···美퍼주기 아냐"
바이든 대통령이 한국을 대표하는 기업 총수들을 만나 연신 "생큐"라고 고개를 숙인 것은 미국에 투자를 더 유치하기 위한 노력이자, 한·미 관계가 미국 우위의 '군사안보 동맹'에서 상호 협력하는 '기술·경제안보 동맹'으로 업그레이드 된 것과 무관하지 않다.
바이든 대통령은 20일 이 부회장의 안내를 받아 윤석열 대통령과 평택캠퍼스를 방문한 후 자신의 트위터에 잇달아 글을 올려 "가장 중요한 것은 한국과 같은 가치를 공유하는 가까운 파트너와 협력해 필요한 것을 더 많이 공급하고 공급망 복원력을 강화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결국 민주주의와 인권 가치 등을 공유하는 '믿을 수 있는 국가'와 협력해 우위를 확보해야 가치를 공유하지 않는 국가들에 안보를 위협받지 않고 공동 번영을 증진할 수 있다는 논리다. 여기에는 정파가 따로 없다.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도 지난 2019년 평택캠퍼스를 상공에서 시찰하고 "저걸 미국에 지었어야 했는데"라며 아쉬움을 나타냈다.
우리나라가 대미 투자를 늘리는 것 역시 같은 이유다. 대통령실 핵심 관계자는 반도체 분야에서 미국의 설계·장비 능력과 우리의 생산 역량이 결합되면 매우 강한 시너지 효과를 만들 수 있다면서 "그런 측면에서 미국에 우리가 투자하는 것이 미국에 퍼주는 것 아니냐는 오해를 가지면 안 된다"고 강조했다.
글로벌 반도체 패권 경쟁에서 강력한 동맹 관계를 구축한 한·미 양국은 경제안보 현안 논의를 위한 상설 대화 채널인 '경제안보대화'도 구축했다. 상설 채널 구축을 통해 반도체를 비롯한 미래 국가안보 자산 논의에 속도를 내겠다는 뜻이다. 이에 따라 반도체뿐 아니라, 배터리와 원전 등에서도 한·미 양국은 밀착 행보를 보이며 글로벌 공급망 재편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