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말 115만 공무원의 업무용 메신저를 두고 네이버와 카카오가 피할 수 없는 한판 자존심 대결을 벌인다.
22일 업계에 따르면 행정안전부는 올해 말 바로톡 운영을 종료하고 민간 메신저를 도입할 계획이라고 각 중앙부처와 지방자치단체에 지난 3월 통보했다.
바로톡은 공무원들이 업무용으로 이용하기 위해 지난 2014년 자체 구축한 메신저이지만, 카카오톡이나 텔레그램 같은 민간 메신저보다 이용이 불편해 공무원들의 외면을 받았다. 특히 아이폰으로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이 불가능해 아이폰을 이용하는 공무원들이 많은 불편함을 겪었다. 결국 지난해 국회에서 바로톡 운영을 위한 예산을 전액 삭감하면서 운영 8년 만에 폐지 수순을 밟게 됐다.
행안부가 메신저 전환 계획을 공식화함에 따라 두 기업용 메신저를 개발한 네이버클라우드와 카카오엔터프라이즈는 정부의 요구 조건을 달성하기 위해 서비스 개선에 착수할 방침이다.
바로톡은 공무원들의 외면으로 연 운영비가 18억원 수준에 불과했지만, 네이버웍스와 카카오워크는 라인과 카카오톡의 기능을 고스란히 품은 만큼 많은 공무원이 이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연 운영비가 100억원 이상으로 올라갈 가능성이 제기된다. 매년 일정한 요금을 내는 구독형 요금제인 만큼 메신저 전환 사업을 수주한 기업은 매년 100억원대 매출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대한민국 정부라는 강력한 고객 사례를 확보하며 국내 기업용 메신저 시장도 선도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카카오톡이라는 강력한 메신저 브랜드에도 불구하고 시장에서 고전하고 있는 카카오엔터프라이즈가 수주에 공을 들일 가능성이 높다.
다만 두 서비스가 정부 데이터센터에 설치하는 구축형이 아닌 네이버와 카카오의 데이터센터에서 운영되는 서비스지향 소프트웨어(SaaS)인 점이 올해 말 도입에 걸림돌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 다만 카카오는 공공 클라우드 사업을 위한 서비스지향 소프트웨어 보안 인증(CSAP)을 받았고, 네이버도 해당 인증을 받으려고 준비 중인 만큼 서비스 거점을 민간에서 공공 데이터센터로 옮기는 형태로 수주전에 참여할 가능성이 제기된다.
한편, 정부가 서비스지향 소프트웨어 대신 구축형이나 혼합형(구축+SaaS)을 고집할 경우 다른 기업용 메신저에도 문을 열 가능성이 제기된다. 이 경우 NHN, 가비아뿐만 아니라 국내 SI(시스템 통합) 업체들도 자사 메신저 솔루션을 앞세워 수주전에 참여할 전망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