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코로나19 생계 지원금에도 임대료가 빠듯한 치킨집 사장 박모(41)씨. 어느 날 날아온 한 통의 문자는 순간 '혹'하게 만들었다. 금융권을 대표하는 A은행에서 접수하는 내용부터 눈에 띄었다.
연 1.5% 저금리에 최초 1년은 무이자 혜택까지, 지금 처한 상황에서 이보다 더 좋을 순 없었다. 더욱이 주거래은행이 A은행이다 보니 A씨는 즉각 지원금 신청을 위해 문의 전화했다. 하지만 그에게 돌아온 직원 응답에 당혹감을 감추지 못했다. "고객님, 저희는 그런 문자를 돌린 적이 없습니다. 아무래도 스미싱(전자금융사기)인 것 같으니 경찰 신고부터 하세요"라는 답이었다.
26일 금융당국 등에 따르면 서씨 사례처럼 금융사기 수법이 진화하면서 자영업, 중소기업을 영위하는 서민들을 겨냥한 스미싱 범죄가 최근 기승을 부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시중은행 명칭을 버젓이 표기한 문자메시지가 무작위로 뿌려지는 실정으로, 은행들도 피해를 호소하며 당국 보고와 수사기관 의뢰 건수가 급증하는 추세다.
불과 수년 전만 해도 문자를 활용한 금융사기범들은 은행 명칭을 그대로 쓰지 않고, 검찰·경찰 등을 사칭해 위력에 따른 범죄를 저지르는 경우가 다수였다. 그러던 수법이 현재는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간판을 도용해 마치 은행에서 불특정 다수에게 보내는 홍보 메시지로 둔갑하며 금융소비자를 현혹하고 있다.
제2금융권보다 대출 금리가 상대적으로 싸고, 고신용자를 타깃으로 하는 은행 이미지를 금융사기에 끌어들이는 셈이다. 더욱이 이런 문자 사기는 '귀하께서는 저소득 근로 생활안정 정책지원 및 긴급 생활안정자금(생계비지원) 지원 대상입니다' 등 코로나19 여파로 경제 상황이 녹록지 않은 서민들을 겨냥하고 있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로 꼽힌다.
이에 더해 지원혜택으로 '무담보, 저금리, 장기상환, 보증지원, 신속지급' 등을 표시하거나 보증기관으로 공기관인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 보증비율 100%(전액보증) 등을 내세우고 있다. 최대 2억원 지원한도, 최대 5000만원 긴급생계비라는 속칭 '낚시성' 표현도 서슴치 않는다.
이뿐만 아니라 △온라인(전자 약정) 신청 안내 △선착순 지원 등 유의사항 △영업일 기준 최종 승인 여부 △전문상담원 문의 등 부가 설명까지 이어지다 보니, 그럴싸한 양식으로 애먼 소비자들만 낚이는 것으로 파악됐다.
정작 은행들도 스미싱 범죄의 피해를 주장하며 당국의 고강도 조사가 필요하다고 토로하고 있다.
시중은행 한 관계자는 "상대적으로 신뢰도가 높은 은행 이름을 전면에 내세워 고객들을 현혹하고, 안내한 번호로 전화를 유도해 보이스피싱으로 연결하거나 휴대전화에 악성 코드를 심어 돈을 빼가는 수법이 난무하고 있다"며 "은행 측에서도 전담 부서를 가동하고 있지만 우후죽순 터지는 사건에 일일이 대응하기 어려워 당국이 나서주기를 바라고 있다"고 전했다.
금융감독원은 이에 관해 "스미싱이 날로 교묘해져 감독 당국도 애를 먹고 있다"며 "출처가 확인되지 않은 문자메시지, 메시지에 표기된 인터넷주소 등은 절대 누르지 말아야 한다"고 밝혔다. 아울러 미확인 애플리케이션(앱)이 함부로 설치되지 않도록 개인 휴대전화의 보안 설정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연 1.5% 저금리에 최초 1년은 무이자 혜택까지, 지금 처한 상황에서 이보다 더 좋을 순 없었다. 더욱이 주거래은행이 A은행이다 보니 A씨는 즉각 지원금 신청을 위해 문의 전화했다. 하지만 그에게 돌아온 직원 응답에 당혹감을 감추지 못했다. "고객님, 저희는 그런 문자를 돌린 적이 없습니다. 아무래도 스미싱(전자금융사기)인 것 같으니 경찰 신고부터 하세요"라는 답이었다.
26일 금융당국 등에 따르면 서씨 사례처럼 금융사기 수법이 진화하면서 자영업, 중소기업을 영위하는 서민들을 겨냥한 스미싱 범죄가 최근 기승을 부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시중은행 명칭을 버젓이 표기한 문자메시지가 무작위로 뿌려지는 실정으로, 은행들도 피해를 호소하며 당국 보고와 수사기관 의뢰 건수가 급증하는 추세다.
불과 수년 전만 해도 문자를 활용한 금융사기범들은 은행 명칭을 그대로 쓰지 않고, 검찰·경찰 등을 사칭해 위력에 따른 범죄를 저지르는 경우가 다수였다. 그러던 수법이 현재는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간판을 도용해 마치 은행에서 불특정 다수에게 보내는 홍보 메시지로 둔갑하며 금융소비자를 현혹하고 있다.
제2금융권보다 대출 금리가 상대적으로 싸고, 고신용자를 타깃으로 하는 은행 이미지를 금융사기에 끌어들이는 셈이다. 더욱이 이런 문자 사기는 '귀하께서는 저소득 근로 생활안정 정책지원 및 긴급 생활안정자금(생계비지원) 지원 대상입니다' 등 코로나19 여파로 경제 상황이 녹록지 않은 서민들을 겨냥하고 있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로 꼽힌다.
이에 더해 지원혜택으로 '무담보, 저금리, 장기상환, 보증지원, 신속지급' 등을 표시하거나 보증기관으로 공기관인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 보증비율 100%(전액보증) 등을 내세우고 있다. 최대 2억원 지원한도, 최대 5000만원 긴급생계비라는 속칭 '낚시성' 표현도 서슴치 않는다.
이뿐만 아니라 △온라인(전자 약정) 신청 안내 △선착순 지원 등 유의사항 △영업일 기준 최종 승인 여부 △전문상담원 문의 등 부가 설명까지 이어지다 보니, 그럴싸한 양식으로 애먼 소비자들만 낚이는 것으로 파악됐다.
정작 은행들도 스미싱 범죄의 피해를 주장하며 당국의 고강도 조사가 필요하다고 토로하고 있다.
시중은행 한 관계자는 "상대적으로 신뢰도가 높은 은행 이름을 전면에 내세워 고객들을 현혹하고, 안내한 번호로 전화를 유도해 보이스피싱으로 연결하거나 휴대전화에 악성 코드를 심어 돈을 빼가는 수법이 난무하고 있다"며 "은행 측에서도 전담 부서를 가동하고 있지만 우후죽순 터지는 사건에 일일이 대응하기 어려워 당국이 나서주기를 바라고 있다"고 전했다.
금융감독원은 이에 관해 "스미싱이 날로 교묘해져 감독 당국도 애를 먹고 있다"며 "출처가 확인되지 않은 문자메시지, 메시지에 표기된 인터넷주소 등은 절대 누르지 말아야 한다"고 밝혔다. 아울러 미확인 애플리케이션(앱)이 함부로 설치되지 않도록 개인 휴대전화의 보안 설정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