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2/05/31/20220531074915955957.jpg)
지난 29일 오후 서울 강북구의 한 재개발 단지 앞에 청약 1순위 마감을 알리는 현수막이 걸려 있다. [사진=연합뉴스]
31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4월 전국의 전월세 거래는 총 25만8318건으로, 이 가운데 월세가 50.4%(13만295건)를 차지해 전세 거래량(12만8023건·49.6%)을 웃돈 것으로 집계됐다.
월세 거래량이 50%를 넘고 전세 거래량을 추월한 것은 정부가 관련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2011년 이후 처음이다.
올해 1∼4월 누적 거래 기준으로 보면 임대차 거래에서 월세 비중은 48.7%로 작년 같은 기간(42.2%)보다 6.5%포인트(p), 5년 평균(41.6%)과 비교해서는 7.1%p 각각 높았다.
지난해 6월 전월세 신고제가 시행된 이후 그동안 신고가 잘 이뤄지지 않던 오피스텔과 원룸 등 준주택의 월세 계약 신고가 늘어나 월세 비중도 함께 확대된 영향도 있다.
주택 거래량은 대선 이후 재건축 등 부동산 관련 규제가 완화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지며 서서히 회복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월 전국의 주택 매매량은 5만8407건으로 전월 대비 9.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이는 작년 같은 달과 비교하면 37.2% 감소한 것으로 여전히 낮은 수준이다.
지역별로 보면 서울이 6120건으로 전월 대비 20.0%, 경기는 1만3261건으로 15.7%, 인천은 3965건으로 11.8% 각각 증가했다. 작년 4월과 비교하면, 서울은 48.5% 감소했고 경기와 인천은 각각 44.9%, 56.3% 줄었다.
지방은 3만5061건으로 전월 대비 5.1% 늘었고, 작년 동월 대비로는 27.0% 감소했다.
4월 전체 매매량을 주택 유형별로 보면 아파트가 3만5679건으로 전월 대비 9.8% 증가했으나 전년 동월과 비교하면 39.8% 감소했다. 아파트 외 주택(2만2728건)은 전월 대비 8.4% 늘었고, 전년 동월과 비교하면 32.8% 줄었다.
또한 주택 인허가 물량은 전국 기준 4만8560호로, 작년 4월과 비교해 8.9% 증가했다.
이 가운데 수도권 물량은 1만5484호로 1년 전보다 39.2% 줄었고, 지방은 3만3076호로 73.0% 증가했다. 서울의 4월 인허가 물량은 3750호로 작년 동월보다 62.9% 감소했다.
4월 전국 주택 착공 규모는 3만4417호로 전년 동기 대비 24.0% 감소했다. 이 중 수도권은 1만6955호로 전년 동월 대비 16.9% 줄었고, 지방은 1만7462호로 29.8% 감소했다.
아파트 착공 실적(2만5581호)은 1년 전보다 24.9% 줄었고, 아파트 외 주택(8836호)은 21.2% 감소했다.
4월 전국의 공동주택 분양(승인) 물량은 전년 동월 대비 49.5% 감소한 1만3620호로 집계됐다. 이 중 수도권은 63.2% 줄어든 4374호, 지방은 38.6% 감소한 9246호로 나타났다.
지난달 전국 주택 준공 실적은 총 3만1010호로 전년 동기 대비 26.1% 늘었다. 지역별로 보면 수도권은 1만8084호로 26.5% 증가했고, 지방은 1만2926호로 25.6% 늘었다.
한편, 4월 말 기준 전국의 미분양 주택은 전달보다 2.8% 감소한 2만7180호로 파악됐다. 수도권 미분양은 2970호로 전월 대비 1.7% 증가했고, 지방은 2만4210호로 3.4% 줄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