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윤영의 재팬플래시] 소니가 살아난다 …일본도 살아날까?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조윤영 前뉴시스 도쿄특파원·日와세다대 국제관계학 박사
입력 2022-06-09 06:0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조윤영 前뉴시스 도쿄특파원·日와세다대 국제관계학 박사]



지금으로부터 33년 전인 1989년 일본 소니가 미국 컬럼비아영화사를 34억 달러에 인수했다. 일본을 대표하는 전자기업이 미국 문화산업을 대표하는 기업을 품어버린 것이다. 이 일이 미국은 물론 세계를 놀라게 한 것은 당시 욱일승천의 기세로 뻗어가던 일본 경제가 마침내 미국 정신을 상징하는 기업까지 점령해버린 사건으로 비쳤기 때문이다. 미국에선 “일본이 미국의 혼까지 사들이냐”는 한탄이 쏟아졌다. 일본 도쿄 땅을 팔면 미국 전역을 살 수 있다는 이야기가 나올 때였다. 일본은 과연 미국을 능가하는 세계 제1의 경제 강국이 될 수 있을 것인지를 놓고 논쟁이 벌어지기도 했다.

그러나 딱 거기까지였다. 거기까지가 일본 경제의 절정이자 소니의 절정기였다. 이후 일본은 이른바 버블경제가 폭발하면서 잃어버린 10년, 20년, 30년 등 끝없는 침체의 시대로 빠져들게 된다. 일본 경제와 함께 절정기를 구가하던 소니가 이번에는 묘하게도 일본 경제 몰락의 상징적 존재가 되고 말았다. 난공불락으로 보이던 전자왕국 소니는 한국의 삼성과 LG의 공세에 맥없이 무너지면서 쇠락의 길을 걷게 된 것이다. 매출과 주가 하락, 적자의 늪에 허덕였다. 2003년 4월 25일부터 이틀 사이에 주가가 27% 폭락하는 ‘소니 쇼크’가 일어나기도 했다. 이때 소니의 몰락을 두고 많은 이들은 “디지털 시대 변화에 제대로 적응하지 못했다”는 한마디로 요약하려 했다.

그리고 30년이 지났다. 지난달 10일 소니가 발표한 작년 한 해 실적은 소니의 부활을 더는 의심할 수 없게 만들었다(일본 정부와 기업들의 회계연도는 매년 4월 1일부터 이듬해 3월 31일까지다). 소니의 영업이익은 1조2023억엔(약 11조5000억원), 매출은 9조9215억엔(약 93조원)으로 둘 다 사상 최고치였다. 일본 기업의 영업이익이 1조엔을 넘은 것은 도요타에 이어 소니가 두 번째였다. 소니가 도요타와 함께 일본을 대표하는 양대 기업의 자리를 되찾은 것이다.

소니의 부활을 보면서 일본 경제 회생의 희망을 이야기하는 사람들도 나온다. 아무리 한 나라를 대표하는 기업일지라도 한 기업의 흥망성쇠를 국가의 그것과 연결 짓는 것은 성급한 일일 것이다. 그러나 소니의 화려한 부활이 일시적 현상이 아니라 수십 년에 걸친 말 그대로 살과 뼈를 깎는 환골탈태의 결과임을 안다면 거기서 일본 경제의 회생 가능성을 찾는 것도 그렇게 무리한 일만은 아닐 것이다.

지난 수십 년간 소니에는 무슨 일이 벌어졌나. 우선 회사 이름이 ‘소니’에서 ‘소니그룹’으로 바뀌었다. 단순한 변화가 아니다. 과거의 소니가 워크맨과 TV, 카메라 등으로 대표되는 가전회사였던 반면 현재의 소니그룹은 게임, 영화, 음악, 애니메이션 등 콘텐츠를 중심으로 한 종합엔터테인먼트 기업이라고 할 수 있다. 요시다 겐이치로(吉田憲一郎) 소니그룹 회장이 스스로 “소니는 엔터테인먼트 기업”이라고 말할 정도다.

2000년에만 해도 소니는 매출 7조3148억엔 가운데 전자 분야 매출이 69%에 달했다. 게임과 음악은 각각 9%, 영화는 8%에 불과했다. 10년이 지나 2010년에도 매출은 제자리걸음(7조1776억엔)이었고 제조업 비중도 62%에 달했다. 그러나 또 10년이 지난 2020년에는 모든 것이 달라졌다. 우선 매출이 눈에 띄게 늘어난 데다(8조9994억엔), 매출 구성이 확 달라졌다. 게임이 30%로 선두를 차지했고 전자는 21%로 쪼그라들었다. 게임은 10년 전과 비교해 3배로 늘어났지만 전자는 3분의 1로 줄어든 것이다. 그 외 음악과 반도체가 각각 11%, 금융 19%, 영화 8% 등으로, 6개 사업 부문이 고르게 균형을 이루는 모양새가 됐다.

이를 반영해 소니는 2021년 4월 회사명을 소니그룹으로 바꾸었다. 1958년 도쿄통신공업에서 소니로 바뀐 지 63년 만이었다. 기업 지배구조도 소니그룹 아래 게임, 음악, 영화, 전자, 반도체, 금융 등 6개 사업회사가 위치하는 사실상 지주회사 체제가 됐다. 전자사업 부문은 더 이상 소니의 핵심이 아니게 됐고, 그저 6개 사업회사 가운데 하나로 내려앉았다. 게다가 전자사업 부문은 덩치에 비해 이익을 못 낸다는 눈총도 받아야 했다. 2020년 소니그룹 전체 영업이익에서 전자는 13.4%에 불과했지만 게임은 35.7%를 차지했다. 음악, 반도체, 금융 분야도 매출에서는 전자보다 적었지만 영업이익은 전자를 앞질렀다.

사정이 이러니 이제 소니를 더는 전자회사라고 부를 수 없게 된 것이다. 특히 게임, 음악, 영화 사업의 성장이 두드러졌다. 컬럼비아영화사를 인수해 설립한 소니픽처스가 작년 말 출시한 영화 ‘스파이더맨: 노웨이 홈’은 글로벌시장에서 무려 17억 달러(약 2조1300억원)의 기록적인 흥행 실적을 냈다. 소니그룹은 자율주행 전기자동차 분야에도 도전장을 냈다. 미래 자동차는 단순한 이동수단이 아니라 이동 중 휴식과 즐거움을 얻는 공간으로 변신할 것이니 엔터테인먼트를 주업종으로 삼게 된 소니가 이를 외면할 수는 없을 것이다.

소니의 사업 재편은 주식시장에서도 높은 평가를 받는다. 2021년 3월 말 시가총액은 14조3688억엔으로 1년 사이에 두 배 가까이 늘었다. 시가총액 순위도 일본 내 4위에서 도요타에 이어 2위로 올라섰다. 지난 3월 국제신용평가사인 무디스는 소니그룹 신용등급을 ‘Baa1’에서 ‘A3’로 한 단계 올렸다. 소니 신용등급이 A3로 복귀한 것은 약 10년 만이다. 구조조정 끝에 이제 성장 안정화 단계로 접어들었음을 인정해준 것이다.

소니 부활의 주역으로 일본 언론의 주목을 받는 사람은 현재 소니그룹 CEO(최고경영자)인 요시다 겐이치로 회장이다. 그러나 침몰하던 소니를 구해내 부활의 토대를 만든 사람은 2012년부터 2018년까지 소니를 이끌었던 히라이 가즈오(平井一夫) 전 회장(현 소니시니어 어드바이저)이라고 할 수 있다.

히라이는 2012년 소니 역사상 최연소(52세) CEO에 취임했다. 당시 소니는 4년 연속 적자를 기록하고 있었고, 소니 대표 상품인 컬러TV는 8년 연속 적자였다. ‘소니 바이오’라는 브랜드로 유명했던 PC 부문도 적자로 돌아섰고, 소니의 최후 보루로 여겨지던 게임기 부문도 ‘플레이스테이션3’ 실패로 골칫거리가 되어 있었다. 소니의 생사가 불투명한 상황이었다.

히라이는 PC 사업을 매각했다. TV 부문에서는 프리미엄 라인만을 남겨두고 모두 정리했다. 플레이스테이션은 컴퓨터가 아닌 게임기로 보고 고급 사양을 지양하고 가격 경쟁력을 갖추게 했다. 생존을 위해 그가 선택한 길은 제조업인 전자사업 비중을 낮추는 대신 서비스업 중심의 엔터테인먼트 기업으로 변신하는 것이었다. 히라이의 과감한 구조조정에 사내 반발이 엄청났고, 퇴사한 선배들까지 찾아와 항의했지만 그는 뜻을 꺾지 않았다. 현재의 나락에도 불구하고 과거의 성공에 취해 있던 소니는 변화에 강력히 저항했다. 무엇보다 기술 하나만은 자신들이 세계 최고라는 자부심에 가득 차 있던 엔지니어들의 아집은 철옹성이었다.

히라이 회장은 소니의 평사원으로 입사해 CEO까지 올랐지만 주류인 전자 부문이 아니라 비주류인 게임과 음악 부문에서 주로 성장했다. 그러니 전자 부문의 저항은 더욱 거셌다. 히라이는 은행원이었던 아버지를 따라 어린 시절부터 미국과 캐나다 등지에서 생활했다. 그에게는 “겉모습만 일본인이지 사실은 미국인과 다름없다”는 평도 따랐다. 그게 그의 힘이었다. 종신고용과 연공서열을 중시하는 일본 기업문화에 익숙했다면 소니를 구조조정의 수술대에 올려놓기 어려웠을 것이다.

히라이 취임 5년 만인 2017년 소니는 영업수익 7349억엔을 올렸다. 전년보다 2.5배나 늘어난 것이다. 소니의 회생은 일본 경제계와 언론의 환호를 받았다. 길고 깊은 침체의 늪에 빠진 일본 경제에 한 줄기 희망의 빛이 되기에 충분했다.

그러나 히라이는 이듬해인 2018년에 경영 일선에서 물러났다. 취임 6년 만에, 58세 나이에, 그것도 한창 주목받는 시점에 2선으로 물러난 것이다. 그가 후임으로 지명한 사람이 현 CEO인 요시다 겐이치로다. 요시다는 재정 전문가로서 히라이의 소니 구조조정을 뒷받침해온 인물이다.

소니 부활 이야기를 다룬 책들이 일본 출판계를 달구고 있다. 나름대로 비결을 분석한 책들도 쏟아진다. 부활의 주인공 히라이 회장이 직접 쓴 책도 작년 7월 ‘소니 재생-변혁을 이뤄낸 이단의 리더십’이라는 제목을 달고 나왔다. ‘이단(異端)의 리더십’은 히라이의 경영을 상징하는 말이다.

첫 페이지 첫 문장에서 그는 ‘어떻게 소니를 부활시켰나’라는 물음에 이렇게 답한다.
“사업의 선택과 집중, 상품 전략 개선, 비용구조 개혁 등 다양한 분석이 나오지만 핵심은 그게 아니다. 자신감을 상실해 실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된 사원들의 마음 저 깊은 곳에 숨겨져 있는 정열의 마그마를 다시 끓어오르게 해 팀으로서 힘을 최대한 끌어낸 것이 비결이다.”

일본 경제가 아무리 비틀거려도 일본은 지금 최고의 취업률을 기록할 만큼 저력을 발휘하고 있다. 기업이 살아 있고 그 기업들이 생존과 부활을 위한 사투를 벌이고 있기 때문이다. 고령화와 저출산으로 경제 체질은 여전히 어둡지만 세계 최고의 기술력과 경쟁력을 갖춘 일본 기업들이 몸부림치고 있는 한 일본 경제의 앞날이 어둡지만은 않다는 것을 소니가 웅변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미니 박스) 

최악의 CEO가 최고의 CEO를 임명?
 

소니 부활의 주인공으로 꼽히는 히라이 가즈오 회장을 소니의 책임자로 지명한 사람은 소니 역사상 최악의 CEO로 꼽힌 하워드 스트링어 전 회장이었다. 프로듀서 출신으로 CBS(현 소니뮤직) 사장을 지낸 영국인 하워드는 2005년 소니의 CEO로 기용됐다. 그룹 역사상 최초로 외국인 CEO를 영입한 건 소니의 추락을 막는 일이 그만큼 다급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하워드의 경영 실적은 기대 이하였고, 2011년 동일본대지진이 터지자 영국으로 돌아가 버렸다. 안전한 영국에 앉아 리모트컨트롤하면서 “소니 유나이티드(소니는 하나다)”를 외쳤으니 코미디가 따로 없었다. 결국, 소니 이사회가 그를 축출했고 하워드가 내건 마지막 요구 조건은 두툼한 퇴직금과 후계자 지명권이었다. 그러고는 히라이 가즈오를 지명했으니 하워드의 사람 보는 안목 하나는 인정할 만하다고 해야 할까.




조윤영 필자 주요 이력

△이화여대 북한학 석사 △일본 와세다대 국제관계학 석·박사 △뉴시스 도쿄특파원 △<北朝鮮のリアル(북한의 현실)> 저자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