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이 2024년에 치러질 제22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전국 47개 선거구에 대한 지역 당협위원장 신규 공모 의결 절차에 돌입했다. 총선이 2년여 남은 가운데 당 지도부에선 지역 당협위원장 신규 공모 의견 건을 두고 벌써부터 이해관계가 얽혀 잡음이 나오기 시작했다.
15일 정치권에 따르면 국민의힘은 서울 광진구을, 성북구을 등 전국 47곳의 국회의원 선거구를 관리하는 조직위원장 공모에 돌입했다. 지난 6·1 지방선거를 치르면서 공석이 된 조직위원장 자리를 채운 뒤 지역 기반을 다지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조직위원장에 선출되면 해당 선거구 운영위원들의 의결을 거쳐 당협위원장으로 추대된다. 당협위원장은 총선 때 스스로 국회의원 공천 1순위가 되는 막강한 권한을 가진 자리다.
◆계파 갈등은 '확대 해석'이라지만…총선 앞두고 당협위원장 경쟁
국민의힘에 따르면 서울의 경우 광진구을과 성북구을을 비롯한 8개 지역이 조직위원장 공모 대상이다. 경기는 성남시 수정구와 성남시중원구, 의정부시갑을 비롯한 19개 지역에서 공모가 진행된다.
이 외에도 인천 계양구을, 강원 원주시을 등 전국 총 47곳에서 조직위원장을 뽑는다.
조직강화특별위원회(조강특위)는 공모 접수가 끝나는 대로 심사를 거쳐 당 최고위원회에 명단을 올릴 예정이다. 이후 최고위 의결을 통해 각 선거구 조직위원장이 확정된다.
조강특위 관계자는 "현재까지 공모 접수가 진행 중이다. 내주 중으로 공모가 마무리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조직위원장 공모가 진행되는 중에도 선거구 쟁탈전은 과열 양상을 보이고 있다. 당 지도부에서 '당협 쇼핑' 논란이 불거지면서 당협위원장 경쟁이 국민의힘 내 '계파 갈등'으로 까지 이어지는 모양새다.
특히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가 띄운 혁신위원회를 둘러싼 당내 갈등이 당협위원장 선정 문제로 번지면서 총선을 앞두고 계파 갈등의 '전초전'이 시작된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정진석 국민의힘 의원은 지난 6일 이준석 대표의 혁신위를 두고 "현역 의원들과 당협위원장들의 횡포가 적지 않았다. 사천 짬짬이 공천을 막기 위한 중앙당의 노력은 턱없이 부족했다"며 "그 와중에 이 대표가 제대로 중심을 잡았나. 지도부 측근에게 당협 쇼핑을 허락하면서 공천 혁신 운운은 이율배반적이지 않느냐"고 비판했다.
국민의힘 지도부 내에서는 해당 논란을 두고 계파 갈등으로 보는 것은 확대해석이라고 선을 그었다. 당 관계자는 "이 대표가 혁신위를 통해서 조직위원장으로 '세력화'를 하는 것 아니냐는 말이 나오지만 당 내에서는 그 누구도 그렇게 생각하지 않고 있다"고 했다.
◆한국당 시절에는 당협위원장 선발 놓고 계파갈등 조짐 보이기도
과거에는 당협위원장 선발이 계파 갈등의 불씨를 당기기도 했다.
자유한국당 시절, 당 지도부는 비박(비 박근혜)계를 중심으로 당협위원장을 임명해 계파 갈등을 조장한다는 비판을 받았다.
당시 비박계로 분류됐던 김용태 전 사무총장이 바른정당 출신 또는 비박계 인사들을 당협위원장으로 대거 임명하면서 전당대회를 앞두고 비박계에 유리한 구도를 조성한다는 지적이 제기된 것이다.
친박(친 박근혜)계 의원들은 당 지도부의 결정에 반발하며 "당 지도부가 당을 분열시키고 있다"고 반발했다.
논란이 불거지자 한국당 조강특위는 당협위원장 인선 발표 일정을 연기하는 등 갈등을 잠재우기 위한 노력을 시도했다. 이후 한국당 비상대책위원회는 당협위원장 모집을 앞두고 입당한 오세훈(당시 전 서울시장)과 이학재(당시 바른미래당 의원) 등을 새 위원장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한국당에 따르면 전체 위원장 중 3040의 비율이 기존 7.6%에서 36%로 대폭 증가했고, 3명 중 1명은 예비후보 등록이나 출마 경험이 없는 정치 신인으로 채워졌다.
이로 인해 당 내홍이 수면 밑으로 가라앉으면서 당내 계파 갈등이 해소된 게 아니냐는 분석이 나왔다. 또 이후 황교안 전 국무총리가 당시 보수 진영의 차기 유력 대권 주자로 거론되면서 당 내 계파 갈등은 소강 상태에 접어들었다.
◆나경원 vs 지상욱 위원장 싸움에서 결국 '친박' 계파 갈등으로 번져
보수 진영에서 계파 갈등은 해묵은 논쟁이다. 새누리당 시절에도 서울 중구 당협위원장 인선을 놓고 나경원 전 의원과 지상욱 여의도연구원장이 진통을 겪었다.
당시 새누리당 조강특위 위원들 사이에서 의견이 갈려 공모 마감 이후 3개월이 다 되도록 결론을 내리지 못한 것이 계파 갈등의 씨앗이 됐다. 당협위원장 한 자리를 두고 '박심(朴心·박근혜 대통령 의중)'이 작용하는 것 아니냐는 논란까지 일었다.
당 안팎에선 친박계 주류가 친이(친 이명박)계인 나 전 원을 떨어뜨리기 위해 지 원장을 밀고 있다는 분석도 나왔다. 특히 박심으로 가시화된 계파 갈등은 이후 새누리당 원내대표 경선과 차기 전당대회 시점 문제로까지 비화했다.
심지어 친이계 의원이었던 심재철 전 의원이 '파벌적 이익'이라는 단어를 사용해 당 지도부를 공개 비판하면서 당내 계파 갈등은 심화하는 모습을 보였다. 최종적으로 중구 당협위원장에는 지 원장이 인선됐다. 이를 두고 친이계 의원들은 크게 반발했다.
이렇듯 당협위원장 자리를 두고 계파 갈등 문제가 불거진 것은 대대로 보수 정권의 '약점'이 됐다. 특히 21대 총선 과정에서 김종인 전 비상대책위원장은 계파 갈등을 종식시키기 위해 친이·친박계를 대거 떨어뜨리기도 했다.
국민의힘 관계자는 이날 "이 대표가 시스템을 만들어서 공천하겠다는 것은 계파 갈등의 역사를 반복하지 않겠다는 의지가 담긴 것"이라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