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이 12일 연속으로 하락하고 있는 가운데 가상화폐 시장 붕괴가 미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력은 적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가상화폐 대출은 제도권 금융기관이 아닌 가상화폐 시장에서 제한적으로만 이뤄졌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가상화폐 폭락으로 인한 여파는 적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18일 미국 CNBC는 "가상화폐의 시장 붕괴가 2조 달러 규모임에도 경제를 죽이지 못하는 이유"를 보도했다. 미국 가계가 가상화폐 시장에 일정 부분 투자를 한 경우는 많다고 인정하면서도 가상화폐 시장 폭락으로 인한 여파는 생각보다 크지 않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매체는 가상화폐 시장의 규모와 미국 가정의 투자 성향을 고루 분석했다. 가상화폐 시장이 현재 시가총액 1조 달러 이하로 미국 국내 GDP(약 21조 달러)와 주택시장 43조 달러에 비해 미미하다고 하면서도 미국 가정이 현재 전 세계 가상화폐 자산의 3분의1을 소유하고 있어 일부 영향은 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퓨리서치센터 조사에서 미국 성인의 16%가 가상화폐에 투자하거나 거래하거나 사용한 적이 있다고 답한 만큼 대규모 매도 분위기와 폭락의 영향을 아예 안 받기는 어렵다.
그럼에도 가상화폐의 폭락이 미국 경제 전반에 미치는 연쇄 효과는 적을 것이라는 게 경제학자와 투자전문가의 분석이다. 이들은 가상화폐가 부채와 관련성이 적다는 것을 근거로 들었다. 토론토대학교의 조슈아 간스 경영학 교수는 "사람들은 가상화폐를 담보로 빚을 내지 않는다. 담보물로의 영향력 없이 이것은 그저 장부상의 손실이며, 실제 전체 경제에서 파장이 적은 이유다"라고 지적했다. 간스는 가상화폐가 담보물로 사용되지 않는 지점이 가상화폐의 급락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력이 "부차적인 것"인 것으로 분류되는 이유라고 지적했다.
전통적인 자산시장은 안정성이 보장돼 해당 자산을 담보로 돈을 빌리는 형식이 유지된다. 부동산·주식 등을 담보로 대출을 받는 것이 대표적이다. 때문에 부동산·주식 등이 폭락하면 이에 따른 파급효과가 연쇄적으로 강력하게 나타난다.
하지만 가상화폐는 전통적인 자산시장과 달리 안정성이 존재하지 않아 이를 담보로 돈을 빌리는 제도가 없다. 간스 교수는 "가상화폐는 큰 변동성 때문에 이를 담보로 다른 자산을 구매하고 빌리는 일이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물론 가상화폐 시장에도 예외는 있지만 이 역시도 영향이 미미하다고 전문가들은 분석했다. 모건스탠리의 최근 연구에 따르면 가상화폐 대출 기관은 대부분 가상화폐 투자자와 회사에 대출을 해왔다. 그러므로 가상화폐가 미국 달러 시스템으로 퍼지는 파급 위험은 "매우 제한적인 수준일 것"이라고 CNBC는 바라봤다.
간스 교수는 은행이 가상화폐 처분에 노출돼 있는지 의심스럽다고 하면서도 CNBC 진단에 동의했다. 그는 "가상화폐를 투자할 수 있는 자산으로 둔 금융기관도 있지만 실제로는 그다지 많은 투자가 이뤄지지 않았다"며 은행에는 자체 규정이 있고 상황이 적절한 투자인지 확인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다른 전문가들도 CNBC에 미국에서 가상화폐에 대한 대중 투자가 크지 않다고 말했다. 일부 개인투자자가 최근 청산으로 타격을 입었지만 가상화폐 시장의 전반적인 손실은 미국 가계의 순자산 150조 달러에 비해 작다는 것이다.
5월 골드만삭스에 따르면 미국의 가상화폐 보유량은 미국 가계 자산의 0.3%를 차지하고 있다. 이는 주식이 차지하는 비중 33%에 비해 크게 낮은 수준이다. 이 때문에 최근 가격 하락으로 인한 총지출에 대한 효과가 크지는 않을 것이라는 지적이다.
벤처투자자 케빈 오라리는 가상화폐 폭락으로 인한 손실은 세계적으로 퍼져 미국의 영향이 생각보다 작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가상화폐 경제와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 등은 세계적으로 분산돼 있다"며 "비트코인이 20% 더 하락하더라도 투자자가 세계 곳곳에 퍼져 있기에 미국 경제에는 큰 문제가 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18일 미국 CNBC는 "가상화폐의 시장 붕괴가 2조 달러 규모임에도 경제를 죽이지 못하는 이유"를 보도했다. 미국 가계가 가상화폐 시장에 일정 부분 투자를 한 경우는 많다고 인정하면서도 가상화폐 시장 폭락으로 인한 여파는 생각보다 크지 않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매체는 가상화폐 시장의 규모와 미국 가정의 투자 성향을 고루 분석했다. 가상화폐 시장이 현재 시가총액 1조 달러 이하로 미국 국내 GDP(약 21조 달러)와 주택시장 43조 달러에 비해 미미하다고 하면서도 미국 가정이 현재 전 세계 가상화폐 자산의 3분의1을 소유하고 있어 일부 영향은 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퓨리서치센터 조사에서 미국 성인의 16%가 가상화폐에 투자하거나 거래하거나 사용한 적이 있다고 답한 만큼 대규모 매도 분위기와 폭락의 영향을 아예 안 받기는 어렵다.
전통적인 자산시장은 안정성이 보장돼 해당 자산을 담보로 돈을 빌리는 형식이 유지된다. 부동산·주식 등을 담보로 대출을 받는 것이 대표적이다. 때문에 부동산·주식 등이 폭락하면 이에 따른 파급효과가 연쇄적으로 강력하게 나타난다.
하지만 가상화폐는 전통적인 자산시장과 달리 안정성이 존재하지 않아 이를 담보로 돈을 빌리는 제도가 없다. 간스 교수는 "가상화폐는 큰 변동성 때문에 이를 담보로 다른 자산을 구매하고 빌리는 일이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물론 가상화폐 시장에도 예외는 있지만 이 역시도 영향이 미미하다고 전문가들은 분석했다. 모건스탠리의 최근 연구에 따르면 가상화폐 대출 기관은 대부분 가상화폐 투자자와 회사에 대출을 해왔다. 그러므로 가상화폐가 미국 달러 시스템으로 퍼지는 파급 위험은 "매우 제한적인 수준일 것"이라고 CNBC는 바라봤다.
간스 교수는 은행이 가상화폐 처분에 노출돼 있는지 의심스럽다고 하면서도 CNBC 진단에 동의했다. 그는 "가상화폐를 투자할 수 있는 자산으로 둔 금융기관도 있지만 실제로는 그다지 많은 투자가 이뤄지지 않았다"며 은행에는 자체 규정이 있고 상황이 적절한 투자인지 확인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다른 전문가들도 CNBC에 미국에서 가상화폐에 대한 대중 투자가 크지 않다고 말했다. 일부 개인투자자가 최근 청산으로 타격을 입었지만 가상화폐 시장의 전반적인 손실은 미국 가계의 순자산 150조 달러에 비해 작다는 것이다.
5월 골드만삭스에 따르면 미국의 가상화폐 보유량은 미국 가계 자산의 0.3%를 차지하고 있다. 이는 주식이 차지하는 비중 33%에 비해 크게 낮은 수준이다. 이 때문에 최근 가격 하락으로 인한 총지출에 대한 효과가 크지는 않을 것이라는 지적이다.
벤처투자자 케빈 오라리는 가상화폐 폭락으로 인한 손실은 세계적으로 퍼져 미국의 영향이 생각보다 작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가상화폐 경제와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 등은 세계적으로 분산돼 있다"며 "비트코인이 20% 더 하락하더라도 투자자가 세계 곳곳에 퍼져 있기에 미국 경제에는 큰 문제가 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