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 선도도시 대구는 대구의료원, 대구미술관, 동대구역 등 다수 시민이 이용하는 공공시설을 대상으로 하는 서비스로봇 실증·보급 사업을 동시다발적으로 본격 추진한다. 그동안 시청 산격동 청사, 엑스코 등 일부 제한적인 시설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던 대구시의 서비스로봇 실증·보급 사업이 대구의료원, 대구미술관, 동대구역 등 다수 시민이 이용하는 공공시설로 그 규모를 확대한다고 6일 밝혔다.
이에 대구의료원은 한국로봇산업진흥원이 공모한 ‘AI·5G 기반 대규모 로봇 융합모델 실증사업’에 선정돼, 올해부터 2년간 로봇 통합관제시스템 및 서비스로봇 4종 10대를 활용한 ‘서비스로봇 기반 비대면 공공병원 혁신 플랫폼 실증’에 나선다.
이는 대구의료원 본관 1층에서 안내 로봇과 방역 로봇이 병원 방문객에게 안내·통역·방역 서비스를 제공하고, 물류 로봇은 병원 내 시설을 오가며 검체·약제·세탁물을 배송하는 등 의료진의 업무를 보조한다.
또한, 로봇통합 관제시스템을 구축해 로봇의 위치, 임무 수행 현황, 오류 현황 등을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모바일을 통한 정보 공유 체계를 구현할 예정이며, 해당 사업은 대구디지털산업진흥원, 대구의료원, KT와 함께 대구시의 지원사업을 통해 카트 로봇을 개발한 티티엔지가 참여해 그 의미를 더하고 있다.
이어 대구미술관은 한국로봇산업진흥원이 공모한 ‘수요맞춤형 서비스로봇 개발·보급사업’에 선정돼 대동모빌리티와 대구시가 함께 올해부터 2년간 총 3대의 스마트 로봇체어를 활용한 ‘이동 약자를 위한 자율주행 이승 로봇 개발 및 실증’에 나선다.
이에 1단계로 자율주행 및 큐레이팅 시스템을 탑재한 대구미술관 맞춤형 스마트 로봇체어를 기획·개발하고 2단계로 총 3대의 스마트로봇 체어를 실증해 이동 약자들의 전시 관람을 지원하고 일반시민들에게도 색다른 문화 향유 콘텐츠를 제공할 예정이다.
또한 동대구역을 대상으로 하는 ‘서비스로봇 실증 및 보급·확산 사업’은 대구시가 자체적으로 추진하는 사업으로, 시민 체감형 서비스로봇을 실증·보급을 통한 지역로봇산업 육성의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추진된다.
해당 사업은 대구디지털산업진흥원이 주관하며 자유 공모 방식으로 오는 7월 18일까지 대구디지털산업진흥원 홈페이지를 통해 과제를 접수한다.
대구시는 해당 사업들 외에도 공공시설, 병원 및 지역 주요 거점 등 도심 전역을 대상으로 하는 다양한 서비스로봇 실증·보급 사업을 통해 서비스로봇 시장을 창출하고, 로봇 산업을 집중적으로 육성해나갈 계획이다.
정의관 대구시 경제국장은 “시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로봇 실증·보급사업 추진으로 서비스로봇 산업 확산의 기반을 마련해 지역 내 서비스 로봇 시장을 창출하고, 이를 통한 ‘로봇 산업 글로벌 허브 도시’로 도약할 수 있도록 행정적, 재정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라고 말했다.
이는 현재 대구시에 설치된 위원회가 총 199개로 법령 등에서 반드시 설치하도록 규정한 100개를 제외한 99개 위원회 중 51개(51.5%)에 대해 우선 통합․폐지를 추진한다.
또한 시 산하 각종 위원회 운영은 정책 결정의 투명성·공정성을 제고하고 외부 전문가의 의견을 활용하기 위해 도입했으나, 그동안 불필요한 위원회 설치, 회의 미개최 등으로 인한 정책의 신속한 의사결정 저해, 위원의 중복위촉 등 여러 문제점이 지적돼왔다.
구체적인 위원회 통합·폐지 정비기준은, 위원회 회의 개최실적이 저조한 위원회, 위원회의 역할 종료 및 기능 약화·부서 자체 계획으로 위원회의 기능 대체, 목적·기능이 유사하거나 근거 법령 또는 소관부서가 동일한 위원회이다.
이에, 민선 8기 시정혁신과제 중 하나로 위원회 정비를 선정했으며, 시 산하 각종 위원회의 존치 필요성을 검토해 통합·폐지를 적극적으로 추진한다. 이를 통해 각종 위원회 운영의 비효율을 개선하고 내실화를 기한다는 계획이다.
정비기준에 따라 51개 위원회가 우선 대상이며 이 중 25개는 법령이나 조례에 임의규정(~둘 수 있다)을 근거로 설치돼 내부방침 결정으로 즉시 정비가 가능하고, 26개는 조례에 강행규정(~둔다)을 근거로 설치돼 조례 개정 후 정비할 예정이다.
김정기 대구시 기획조정실장은 “그동안 불필요한 위원회가 설치·운영돼왔으며, 본래 설치 목적과 다르게 책임회피 수단으로 운영되기도 했다”라며, “위원회 정비를 통해 위원회 운영을 더욱 활성화하고 정책 추진 시 공청회나 정책토론회 개최, 온라인을 통한 의견수렴 등의 다양한 방법을 활용해 정책 추진에 반영토록 하겠다”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