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세훈 서울시장이 10일 '대심도 칼'을 다시 빼 들었다.
대심도란 시간당 100mm 이상의 비가 내려도 침수되지 않도록 수십미터의 땅속에 빗물을 받아놨다가 방류시키는 빗물저류배수시설이다.
오 시장은 지난 11년 전인 2011년 우면산 산사태 등 강남·서초 지역의 침수 피해를 당한 뒤 대심도 빗물저류시설을 건설해 침수피해를 예방하려했었다.
그러나 후임 박원순 시장이 들어서면서 전면 백지화 시킨 뒤 관련 예산을 복지 등 포퓰리즘 예산으로 전용시켰다. 당시 박 시장은 "이렇게 큰 예산을 들여 대심도 건설을 할 필요가 없다"는 입장을 보이며 반대했다. 박 시장은 다만 양천구 신월동 대심도를 오 시장의 계획대로 건설했다. 그 결과 신월동 지역은 침수피해없이 이번 폭우를 견뎌냈다.
오 시장도 이날 입장문에서 "대심도 유효성은 금번 폭우사태에서 명확하게 드러났다. 시간당 95~100mm의 폭우를 처리할 수 있는 32만톤 규모의 대심도저류능력을 보유한 신월지역은 침수 피해가 전혀 발생하지 않았다"고 역설한 뒤, "(박 시장때 건설한) 저류시설은 처리능력이 시간당 85mm에 불과해 대규모 침수피해로 이어졌다"고 설명했다.
11년전에도 오 시장은 신월동 이외에도 강남역사거리, 사당역사거리 등 폭우때 상습침수를 겪고 있는 서울지역 6곳에 대심도 건설을 계획했다. 오 시장은 이때 시간당 100mm이상의 폭우를 감당할 수 있도록 10년간 5조원을 투자하고 장기적으로 17조원의 예산을 투입시키겠다고 약속했었다.
오 시장은 이날 "2011년 이후 중단됐던 상습 침수지역 6곳에 대한 빗물저류배수시설(대심도 터널) 건설을 향후 10년간 1조5000억원을 집중 투자해 다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시간당 처리 용량을 현재 '30년 빈도 95㎜' 기준에서 최소 '50년 빈도 100㎜'로 높이고, 항아리 지형인 강남은 '100년 빈도 110㎜'를 감당할 수 있도록 목표를 상향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서울시는 정부와 협력해 향후 10년간 상습 침수지역 6곳에 빗물저류배수시설 건설, 기존 하수관로 정비, 소규모 빗물저류조, 빗물펌프장 등을 건설키로 했다. 빗물저류배수시설 건설 1조5000억원을 비롯해 총 3조원을 투자할 방침이다.
서울시는 1단계로 이번에 침수 피해가 컸던 강남역 일대, 도림천과 광화문지역에 2027년까지 빗물저류배수시설 구축을 완료할 예정이다.
강남역 일대는 3500억원을 투입해 당초 빗물저류배수시설 건설 계획을 복원하는 근본적인 치수 대책을 추진한다.
관악구, 동작구, 구로구, 영등포구를 흐르는 도림천은 서울 시내 지천 중 수해에 가장 취약한 곳인 만큼 3000억원을 투입해 빗물저류배수시설을 건설해 저수·통수 능력을 늘린다.
광화문의 경우 C자형 관로에서 관로를 하나 더하는 정도로 보완했으나 근본적인 해결책이 되지 못했다는 판단에 따라 다시 빗물저류배수시설 건설을 추진하기로 했다.
이후 2단계 사업은 동작구 사당동 일대, 강동구, 용산구 일대를 대상으로 관련 연계사업이나 도시개발 진행에 맞춰 2030년까지 순차적으로 해나갈 계획이다.
오 시장은 "이러한 대책의 구체적인 실행 준비를 위해 재난기금 등 관련 재원을 즉시 투입하겠다"며 "6개 지역에 대한 실태와 여건, 설치 방법과 규모 등 방향 설정을 위한 타당성 조사를 하반기에 추진하고 내년도 예산에 설계비 등을 반영해 이후 절차를 앞당기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